참여형 과제는 획기적인 국민 참여 확대를 통한 사회 문제 해결이 목표다. 청년정책 자문단 운영, 현장소통 원탁토론회 개최, 마을공동체 활성화 사업이 대표적이다. 협력형 과제는 시민사회 자율성 확대와 민관 협력 교류를 강화한다. 공공데이터 개방 및 활용, 공영주차장 무인 통합관제 시스템 구축 등이다.
공공서비스 과제는 우리동네 키움센터 설치, 청년 취업 지원서비스,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운영, 노인맞춤 돌봄 서비스를 확대한다. 구 핵심 정책사업인 혁신 브랜드과제 ‘내일(My job) 드림‘도 발굴했다. 대상은 청년기업 일자리기금 융자, 민관협력 일자리 사업이다. 경기 불황으로 자금난을 겪는 청년기업을 돕고 교육훈련과 취업을 연계해 일자리를 만든다.
성장현 구청장은 “코로나19로 사회 전반이 위축돼 있지만 위기상황 일수록 혁신이 더욱 필요하다”며 “정부 정책에 부응하면서도 지역 특성에 맞는 혁신을 통해 구민들의 삶을 바꿔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