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01 (일)

이슈 김정은 위원장과 정치 현황

‘원산포착vs사망설’에도 침묵한 北…김정은, 공개활동 없어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노동신문 24일 김정은 ‘혁명 실록’ 보도

‘인민 사랑’ 행보 망라…충성심 강조

13일째 공개행보 없이 동정만…건재 시사 풀이

김정은 신변 北매체 공개해야 확인 가능

[이데일리 김미경 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신변’을 놓고 혼선이 거듭되는 가운데 북한은 여전히 침묵하고 있다.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 11일 당 정치국 회의를 주재한 이후 24일 현재까지 13일째 공개활동을 중단했다. 북한 관영 매체들은 김 위원장의 별도 사진이나 영상 없이 간략한 동정만 보도할 뿐 공개행보 보도는 내놓지 않고 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4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혁명 실록’을 보도하며 최고지도자에 대한 충성심을 강조했다. 그러나 공개행보에 대한 어떤 언급도 없었다.

신문은 이날 2면 전면에 게재한 ‘위대한 어버이 품 속에 인민은 무궁토록 살리라’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김 위원장이 집권 후 8년 간 선보였다는 ‘인민 사랑’의 행보를 총망라했다. 과거 김 위원장이 서해 최전방인 장재도와 무도에 목선을 타고 방문한 이야기나 평양시와 삼지연, 원산과 양덕 등에 대규모 건설 사업을 추진한 것을 예로 들며 김 위원장의 ‘인민 사랑’을 강조했다.

이데일리

지난 12일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마지막 공개활동 모습. 11일로 추정되는 이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서부지구 항공 및 반항공사단 관하 추격습격기연대를 시찰했다. 이후 김 위원장은 24일 현재까지 13일째 언론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또 신문은 “우리 인민은 위대한 어버이의 손길에 운명도 미래도 다 맡기고 그 품 속에서 무궁토록 행복하게 살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날 1면에는 평양 주재 러시아대사관이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 1주년을 기념해 꽃바구니를 보낸 기사도 실었다.

김 위원장의 이름만 있을 뿐 이날도 외부활동 소식은 전해지지 않았다. 그의 공개활동은 지난 11일 당 정치국 회의를 주재한 것이 마지막이다.

건강이상설이 제기됐던 지난 21일부터 지금까지 북한 매체들은 김 위원장에 대한 건강이상설에 대해서는 대응하지 않고, 짐바브웨(19일)·쿠바(21일)·시리아(22일) 정상에 김 위원장이 축전이나 답전을 보냈다고 알렸다. 다만 김 위원장의 건재를 시사하려는 의도가 있어 보인다.

북한이 ‘신변이상설’을 불식시킬만한 어떤 입장도 내놓지 않으면서 김 위원장의 건강상태에 대한 반응도 크게 엇갈리고 있다.

전날 밤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을 이유로 김 위원장이 원산으로 거처를 옮겼다는 정보를 미국 당국이 파악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미 당국이 정찰기 등을 투입해 전파 및 영상 정보를 분석한 결과, 김 위원장이 지난주부터 원산에 체류했으며 15∼20일 사이 부축을 받거나 휠체어 등을 이용하지 않고 걷는 모습이 포착됐다고 전했다.

앞서 청와대는 23일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열고 “현재 북한 내부에 특이 동향이 없음을 확인했다”고 밝혔지만 김 위원장이 뇌사 상태라는 주장도 나왔다.

DJ(김대중) 정부 시절 초대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을 지낸 장성민 세계와동북아평화포럼 이사장은 이날 오후 자신의 페이스북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사실상 사망한 것이나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북한 내부 권력 사정에 정통한 중국의 한 고위급 대북정보통에 따르면 오늘 아침 북한의 권력 핵심부가 김 위원장의 회복이 불가능하다는 판단을 내렸다”며 “김정은이 사망한 유고(有故) 상황이라고 가정하고 선제적인 외교활동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가 공개활동에 나서기 전까지는 건강 상태를 파악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전례에 비춰보면 북한 매체가 향후 김 위원장의 군사활동, 경제현장 지도 등 공개활동을 보도해야 확인할 수 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