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8 (토)

경기 어려우니 옷부터 안 사…법원 찾는 의류업체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의류 도소매업체·제조업체 기업 회생절차 신청↑

가계 의류 및 신발 지출 감소세에 패션 시장 성장 정체

따뜻한 겨울과 코로나19로 올해도 실적 부진 예상

LF·삼성물산 등 M&A와 브랜드 재정비로 활로 모색

이데일리

오렌지팩토리 포항점 전경.(사진=이데일리DB)


[이데일리 김무연 기자] 지속적인 경기 악화에 의류 업체들이 잇따라 법원 문을 두드리고 있다. 경기 침체에 따라 의류 구매 비용부터 줄이는데다 해외 브랜드의 직접 진출이 늘어나며 중간 유통상이나 국내 브랜드 업체들이 버티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국내 패션 대기업들도 신사업을 개척하거나 기존 브랜드 구조조정에 들어가는 등 활로 모색에 나섰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해외 유명 브랜드의 손가방, 스카프 등을 유통하는 예진상사는 지난 11일 서울회생법원에 기업 회생절차를 신청했다. 1975년 설립된 예진상사는 프랑스 발망과 엘르, 영국 닥스 등 유명 브랜드와 스카프 및 머플러 기술 제휴를 맺고 관련 상품을 생산해 온 중견 업체다. 펜디, 마크제이콥스, 켈빈클라인 등의 머플러와 넥타이를 직수입해 유통하기도 했다.

이름 있는 중견 의류업체들이 속속 법원에 기업 회생절차를 신청하고 있다. 여성의류 브랜드 ‘트위’로 유명한 티엔제이(TNJ)는 지난해 7월 기업 회생절차에 들어갔다가 기업자율회생을 추진하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했다. 골프웨어 ‘울시’를 운영하는 비엠글로벌은 지난해 11월 회생절차에 들어가 현재 공개매각을 진행 중이다. 잔스포츠·디아도라 등의 브랜드를 독점 유통하던 네오미오 또한 지난해 7월 법원을 찾았다.

1990년대 말 인기 브랜드의 재고 상품을 헐값에 사 싸게 되파는 ‘땡처리’로 유명한 오렌지팩토리 역시 무리한 사업 확장으로 부도가 난 뒤 2018년부터 기업 회생절차에 들어갔다. 그러나 마땅한 인수자를 찾지 못해 결국 지난해 3월 파산결정을 받았고 이후 패션전산시스템업체인 그린월드홀딩스에 인수됐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실제로 법원을 찾고 있는 의류업체들도 늘어나는 추세다. 서울회생법원에 따르면 의류 도소매업체의 회생 사건 접수 건수는 2014년 6건, 2015년 2건, 2016년 9건, 2017년 3건, 2018년 4건, 2019년 2건(4월까지)으로 집계됐다. 의류제조업체의 회생 사건 접수는 2014년 15건, 2015년 20건, 2016년 20건, 2017년 24건, 2018년 34건, 2019년(4월까지) 11건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의류 도소매업체가 어려움에 빠지자 그 여파가 의류 제조업체까지 미쳤단 분석이다.

업계에서는 경기 악화로 소비자들이 절감이 비교적 쉬운 의류비를 줄이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가계의 의류 및 신발 소비지출은 10조6420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2.5% 감소했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경기가 어렵다보니 필수재가 아닌 항목에서 소비자들이 지출을 줄이고 있다”며 “올 겨울이 유난히 따뜻했던 데다 올초 코로나19 사태로 소비심리가 얼어붙으며 패션업계가 한 층 더 어려워질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국내 패션 시장이 더 이상 유의미한 성장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꼽혔다. 한국섬유산업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패션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2.7% 성장한 44조3876억원을 기록할 전망이다. 2005년부터 2010년까지 국내 패션시장은 연평균 두 자릿수 이상의 성장세를 보였지만 2010년부턴 줄곧 5% 미만의 낮은 성장률로 답보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데일리

LF가 인수한 일본 식자재 전문 유통업체 모노링크.(사진=LF)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 패션 대기업들도 각자 활로를 찾기에 분주하다. LF(093050)의 경우 주류수입 유통사 인덜지, 일본식품 유통사 모노링크, 치즈버터 수입유통업체 구르메F&B, 조미김 생산업체 해우촌 등을 인수해 식자재 업체로 변모를 꾀하고 있다. 또한 코람코자산운용 지분을 인수해 부동산 산업에도 뛰어들 준비를 마쳤다. 본업인 패션 부문에서는 아웃도어 브랜드 ‘라푸마’를 정리하는 등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다.

삼성물산 패션부문도 온라인 강화와 리브랜딩에 집중하고 있다. 빈폴키즈를 온라인 전용으로 전환하고 일시적으로 사업을 접었던 남성복 브랜드 엠비오를 온라인 브랜드로 새롭게 내놨다. 코오롱(002020)FnC는 최근 캐주얼 남성복 라인인 ‘클럽 캠브리지’ 브랜드를 ‘캠브리지 멤버스’로 흡수하는 등 브랜드 통폐합을 단행하는 한편 유니섹스 캐주얼 ‘하이드아웃’을 인수해 젊은 층 공략에 나섰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