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8 (토)

[ONE SHOT] 직장인 행복 점수 평균 41점…행복 점수 가장 높은 회사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대한민국 직장인 행복지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한민국 직장인 행복 지수(BIE: Blind Index of Employee Happiness)



중앙일보와 블라인드 앱은 직장인들의 일과 삶 만족도, 직무 만족도, 직장 내 관계, 직장 문화를 주제로 한 설문 결과를 9월부터 매월 초 발표했다. 12월의 주제는 3회에 걸쳐 발표한 ‘대한민국 직장인 행복 지수(BIE)’를 종합 정리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조사 보기 직무 만족도 ▶ / 직장 내 관계 만족도 ▶ / 직장 내 관계 만족도 ▶

# 행복 점수 41점…직장인, 행복하지 않다

직장인 앱 블라인드 사용자 8만7149명(8569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 대한민국 직장인의 행복 지수는 100점 만점에 41점으로 조사되었다. 이 조사는 직장인의 개인적인 행복도, 직장 만족도, 직장 충성도와 함께 직장 만족도에 높은 영향력을 가진 3개 요소 (1 직무 만족도, 2 직장 내 관계, 3 직장 문화)를 측정하고, 직장인 행복도와 3개 요소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 직장인 “일은 자신 있지만, 스트레스가 적”

직장 만족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항목은 63점을 차지한 ‘업무 자신감’이었다. ‘동료의 지원’(62점)과 ‘표현의 자유’(55점) 항목도 비교적 점수가 높았다. 반면에 ‘최근 1년 내 번아웃을 경험한 적이 있느냐’고 질문한 ‘스트레스’ 항목은 33.8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차지해 직장인의 스트레스가 심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여성의 스트레스 항목은 28.0점으로 모든 조사 항목에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 직장인 행복, ‘직장 만족도’와 ‘워라밸’이 좌우해

설문은 직장인들의 ‘개인적 행복도’와 조사 항목별 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도 내놨다. 그 결과 직장인이 행복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상관계수 0.80으로 가장 높았던 ‘직장 만족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직장인 행복을 위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되는 ‘워라밸’(0.56)보다 직장인의 행복을 위해 ‘직장 만족도’가 더 중요하다는 이야기다. 이어서 업무 의미감(0.52), 상사의 지원(0.50), 업무 자율성(0.47), 표현의 자유(0.44), 복지(0.43) 순이었다. 결국 직장인들은 자신의 일과 개인 삶과의 균형을 적절히 맞추는 것이 직장 행복도를 높이는 지름길이라는 이야기다.

# 재직자가 행복한 기업, 1위 구글 코리아 평균 77점

중앙일보

대한민국 직장인 행복 기업 TOP 10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설문에 참여한 8569개 기업 중 재직자들이 행복도가 가장 높은 기업은 모든 항목에서 고르게 높은 평가를 받은 구글코리아(77점)였다. 구글코리아는 직원을 아끼는 조직문화와 다양한 복지혜택으로 재직자들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SK이노베이션(74점), 부산교통공사(67점), 한국원자력연구원(67점), 비바리퍼블리카(67점), 데브시스터즈(66점), 한국HP(66점), 선데이토즈(65점), SK텔레콤(65점), SAP 코리아(65점)가 재직자가 행복한 기업 상위 10위에 이름을 올렸다.

글=김경진 기자 capkim@joongnag.co.kr

그래픽=김은교 kim.eungyo@joongang.co.kr

중앙일보

우리 회사 행복지수를 ‘연도’로 나타내면 몇 년도에 머물러 있을까? ...블라인드 지수 웹 페이지에서 확인해 보세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issue/1087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