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위안부 문제' 끝나지 않은 전쟁

하남 평화의 소녀상 제막…청소년의회 호소 ‘눈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김상호 하남시장 14일 '하남 평화의 소녀상 제막식' 헌화. 사진제공=하남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남=파이낸셜뉴스 강근주 기자] “고통과 절망 속에 살아온 작은 소녀의 손을 잡아주세요. 이 땅의 모든 청소년을 대표해 부탁드립니다.”

손예원 하남시청소년의회 의장이 14일 하남 평화의 소녀상 제막식에서 밝힌 호소다. 이에 제막식장 분위기는 더욱 숙연해졌고 참가자는 다시금 옷깃을 여기며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신채호 선생이 던진 화두를 곱씹었다.

하남 평화의 소녀상 건립추진위원회는 이날 하남시 국제자매도시공원에서 시민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하남 평화의 소녀상 제막식을 개최했다.

평화의 소녀상 건립은 아픈 역사를 공유하고 공감하며 올바른 역사교육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마련됐다. 평화의 소녀상은 일제 강점기에 13~15세 소녀가 일본에 끌려갈 때 모습을 담아냈다.

파이낸셜뉴스

하남 평화의 소녀상 제막. 사진제공=하남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형물의 그림자는 일본정부의 사과와 반성 없이 지나온 시절에 대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원망과 한을 상징한다. 땅에 딛지 못한 맨 발꿈치는 광복 이후 고향에 돌아와서도 편히 정착하지 못한 마음을, 꼭 쥔 손은 사과는커녕 평화의 소녀상 설치에 반대하는 일본의 무례함에 대한 분노와 역사의 다짐을 의미한다.

평화의 소녀상 옆에 빈 의자는 돌아가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의 자리이자 소녀상 옆에 앉아 당시 끌려가던 소녀의 마음을 헤아리고 현재 피해자 할머니의 외침을 느껴볼 수 있도록 제작됐다.

평화의 소녀상 건립은 작년 3월 하남청년포럼단체가 하남 평화의 소녀상 발대식을 갖고 단체로 등록하면서 시작됐다. 이후 준비위원회를 구성해 대시민 홍보를 적극 진행하면서 작년 12월 하남시 공공조형물 건립 및 관리 등에 관한 조례 제정도 견인했다. 이후 지난달 평화의 소녀상 부지를 국제자매도시 공원으로 확정하면서 14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을 맞아 제막식을 갖게 됐다.

이날 행사는 오후 5시 청춘예술단, 하남소리새오카리나앙상블, 미사소년소녀합창단, 하남시장애인합창단, 제이앤제이댄스팀의 공연을 시작으로 개막됐다. 이어 김해중 추진위 공동대표 기념사와 김상호 하남시장, 이현재 국회의원, 방미숙 하남시의회 의장 축사가 진행됐다.

김해중 공동대표는 기념사에서 “오늘의 제막식은 시민의 뜻을 모아 하남시 평화의 소녀상이 세워지는 날”이라며 “부끄러운 역사를 잊지 않고 잔혹했던 역사를 그대로 알려 다시는 반복되지 않기 위한 교훈으로 삼고자 한다”고 말했다.

파이낸셜뉴스

하남 평화의 소녀상 제막식 헌화. 사진제공=하남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상호 시장은 축사에서 “최근 일본 아베정권이 역사 도발, 경제 도발을 해오는 가운데 광복절을 하루 앞둔 오늘 하남 평화의 소녀상이 건립됨에 큰 의미를 두고 싶다”고 강조했다.

이어 “2차세계대전을 일으킨 독일은 베를린 중심에 유태인 희생자 추모공원을 세워 자신의 만행을 후손에게 고백해 똑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다짐하고 있다”며 “그런데 일본은 반성의 공간을 만들기는커녕 오히려 자신들이 원폭 피해자임을 강조하고 일본 대사관의 소녀상을 치우라는 얘기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일본의 극우세력은 대한민국 국민이 독립운동은 못했어도 불매운동을 한다는 목소리를 무시하면 미래가 없을 것”이라며 “일제 강점기에 단재 신채호 선생님이 설파한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명제가 새삼 가슴 속에 파고든다”고 강조했다.

제막에 앞서 마지막 순서로 연단에 오른 손예원 하남시 청소년의회 의장은 호소문에서 “고통과 절망 속에 살아온 작은 소녀의 손을 잡아달라”며 “이 땅의 모든 청소년을 대표해 부탁드린다”고 밝혀 개막식장은 일순 경건한 슬픔에 휩싸였다.

kkjoo0912@fnnews.com 강근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