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위안부 문제' 끝나지 않은 전쟁

특별한 광복절…'1400회 수요집회'·'아베 규탄 집회' 등 전국서 봇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400회 맞은 위안부 피해자 수요집회

서울·안양·수원 등 국내 13개 도시서

日규제 반일감정 맞물려 3000명 참여

일본·영국·대만 등 9개국 21개 도시서도

서울 곳곳에선 '반 아베' 시민행진·행사도

아시아경제

국외 거주 독립유공자 후손들이 광복절을 하루 앞둔 14일 서울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을 견학하고 있다./김현민 기자 kimhyun8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승진 기자, 이정윤 기자] 광복절을 하루 앞둔 14일 서울을 비롯한 전 세계에서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울려 퍼진다. 또 일본의 경제 보복을 규탄하는 대규모 시위도 도심 곳곳에서 열릴 예정이다.


이날 낮 12시 서울 종로구 옛 일본 대사관 앞에서 열린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시위(수요집회)는 1400회를 맞았다. 이번 수요집회는 서울뿐 아니라 경기 안양시, 수원시 등 국내 13개 도시에서 함께 열렸다. 또 호주와 뉴질랜드, 영국, 필리핀, 대만, 일본을 비롯한 9개국 21개 도시도 참여하며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에 한목소리를 낼 예정이다.


특히 이번 수요집회는 1400회라는 점과 일본의 경제 보복에 고조된 반일 감정이 맞물리며 평소 200~1000명이던 참석 인원보다 훨씬 많은 3000여명이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 오전 10시 현장엔 집회 시작을 2시간이나 앞뒀음에도 집회에 참석하기 위해 시민 수십 명이 모였다.


수요집회 참석을 위해 오전 9시부터 현장을 찾았다는 이성재(17)군은 "일본이 최근 한국을 향해 경제 보복을 했기 때문에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수요집회에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해 이 자리에 오게 됐다"며 "이 기회를 빌려 앞으로도 수요집회에 활발히 참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수요집회는 고(故) 김학순 할머니가 1991년 8월14일 피해 사실을 공개하며 시작됐다. 이듬해 1992년 1월 수요집회가 처음 열리며 27년 동안 단 한 주도 쉬지 않고 이어졌다. 한경희 정의기억연대 사무총장은 "일제의 위안부 만행이 보편적 여성 인권을 침해하는 전시 성폭력이었다는 점이 알려지며 수요시위가 평화를 외치는 상징적 집회가 됐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부터 광복절 당일까지 아베 신조 일본 정권을 규탄하는 집회와 관련 행사가 서울 도심 곳곳에서 이어진다. 오후 6시 서울 마포구 신촌 일대에서 시민 1000여명이 참석하는 '노노아베 8ㆍ15시민 행진'이 열린다. 행사를 주최한 한길우(46)씨는 "시민단체나 사회단체가 아니더라도 개인 스스로로 행동할 수 있다는 걸 보여주고 싶어 행진을 준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날 행진은 신촌 유플렉스에서 시작해 충정로역을 거쳐 독립문을 향해 진행된다. 한씨를 비롯해 집회 참가자들은 내년 3월1일까지 온오프라인을 통해 반(反)일본 운동을 진행할 예정이다.


15일 오전 11시 서울광장에서는 겨레하나, 민족문제연구소 등 10여개 단체로 구성된 '강제동원 문제해결과 대일과거청산을 위한 공동행동'이 '광복 74주년, 일제 강제동원 문제해결을 위한 시민대회'를 연다. 2000여명의 참가자들은 '강제동원 사죄하라' '아베는 사죄하고 배상하라' 등의 구호가 적힌 만장 100여개와 피해자들의 영정을 들고 광화문 대로를 따라 주한 일본 대사관 앞까지 행진할 계획이다.


또 750여개 시민사회단체로 꾸려진 아베규탄시민행동은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광복 74주년 8ㆍ15 평화손잡기추진위원회 등과 공동으로 15일 오후 6시부터 광화문광장에서 '8ㆍ15 아베 규탄 범국민 촛불 문화제'를 개최한다. 이들은 전국적으로 이뤄지는 일본산 제품 불매운동에 동참해줄 것을 호소하며 '반아베'를 외치자고 주장할 계획이다.




이승진 기자 promotion2@asiae.co.kr
이정윤 기자 leejuyo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