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 열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에서 배우 한지민 씨가 위안부 피해자의 딸이 쓴 편지를 낭독하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철없는 저는 엄마가 부끄러웠습니다. 가엾은 우리 엄마. 미안하고 죄송합니다.”
위안부 피해자의 딸이 돌아가신 엄마를 생각하며 편지를 적었다. 열일곱 살에 일본군에 끌려가 모진 고생을 했던 엄마. 어릴 때는 애써 외면했던 엄마가 어떤 일을 당했는지 뒤늦게 알게 되면서 죄송한 마음을 표현한 편지가 14일 공개된다.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여성가족부가 주최하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이하 기림의 날)’ 기념식에서 편지를 낭독한다.
지난해 처음 8월 14일로 지정된 기림의 날은 올해 두 번째를 맞았다. 8월 14일은 지난 1991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고(故) 김학순 할머니께서 위안부 피해를 처음으로 공개 증언한 날이다. 정부가 기념일을 지정하기 전에도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아시아연대회의’에서 2012년에 이날을 ‘세계 위안부의 날’로 정한 바 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아시아연대회의’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시민단체 네트워크다. 한국·대만·필리핀·북한·중국·인도네시아·동티모르 등지의 피해자와 피해 국가, 일본 등의 지원 단체와 지지 단체, 개인 등으로 구성됐다.
기념식에서는 엄마와 딸의 가슴 아픈 이야기를 영상으로 보여준 뒤 배우 한지민씨가 편지를 대신 낭독한다. 여성가족부는 편지를 쓴 딸과 위안부 할머니가 누구인지 공개하지 않았다. 다음은 영상과 편지 전문이다.
어린 시절,
또래의 친구들에게 우리 엄마는 평양이 고향이신데,
전쟁 때 다친 군인들을 치료하는 간호사였다고
우리 엄마는 참 훌륭한 분이라고 자랑을 했어요.
그러던 어느 날,
잠결에 엄마가 동네 아주머니에게 털어놓는
이야기를 들었어요.
엄마가 일본군 위안부로 있었다는 이야기를 처음 들었을 때,
저는 너무나 어린 나이였습니다.
그래서 그게 뭔지 무슨 일을 겪으신 건지 저는 아무것도 알 수가 없었습니다.
1942년. 그러니까 엄마 나이 열일곱.
전쟁 때 다친 사람들을 간호하러 가신 게 아니구나…
누군가에게 강제로 끌려가 모진 고생을 하신거구나…
어렴풋이 짐작만 할 뿐이었습니다.
뼈가 튀어나올 정도로 다친 어깨와 허리 때문에
팔을 들어 올리지도 못 하시는 엄마를 보면서도
무엇을 하다 그렇게 심한 상처를 입으신 건지 엄마한테는 차마 물어보지 못했습니다.
겁이 났습니다. 그런 일들이 있었다는 것이 무섭기만 했고,
그 많은 사람들 가운데 하필이면 우리 엄마가 겪은 일이라는 게 더 무섭고 싫기만 했습니다.
혹시라도 내 주변의 친구들이 이런 사실을 알게 되면 어쩌나 그저 두렵기만 했습니다.
엄마는 일본말도 잘 하시고 가끔은 영어를 쓰시기도 하셨지만
밖에 나가서 이야기를 하실 때는 전혀 사용하지 않으셨습니다.
어디 가서 다른 사람들에게는 엄마 얘기를 절대 해서는 안 된다며 제게도 항상 신신당부를 하시곤 했었죠.
그렇게 세월이 흘렀습니다. 아무것도 모른 채,
아니, 어쩌면 저는 아무것도 알고 싶지 않았던 것 같아요.
그래서 애써 외면했어요.
제가 알게 된 엄마의 이야기를 모른 체 하고 싶었습니다.
철없는 저는 엄마가 부끄러웠습니다.
가엾은 우리 엄마. 미안하고 죄송합니다.
그 깊은 슬픔과 고통을 안고 얼마나 힘드셨을지 가슴이 아파옵니다.
엄마.
엄마가 처음으로 수요 집회에 나갔던 때가 떠오릅니다.
처음엔 어디 가시는지조차 몰랐던 제가
그 뒤, 아픈 몸을 이끌고 미국과 일본까지 오가시는 것을 보면서
엄마가 겪은 참혹하고 처절했던 시간들에 대해 하나씩 하나씩
자세하게 알게 되었습니다.
엄마가 생전에 하시던 말씀이 생각납니다.
끝까지 싸워다오. 사죄를 받아다오.
그래야 죽어서도 원한 없이 땅 속에 묻혀 있을 것 같구나.
“이 세상에 다시는 전쟁이 없어야 해.”
“다시는 나 같은 아픔이 없어야 해.”
엄마는 강한 분이셨어요.
그러나 엄마는 그렇게 바라던 진정한 사죄도, 어린 시절을 보상도 받지 못하시고
우리 곁을 떠났습니다.
살아있는 모든 순간이 고통과의 싸움이었을 엄마를 생각하며 저는 울고 또 울었습니다.
엄마.
끝내 가슴에 커다란 응어리를 품고 가신 우리 엄마
모진 시간 잘 버텨내셨습니다.
이런 아픔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저희가 이어가겠습니다.
반드시 엄마의 못다한 소망을 이루어내겠습니다.
이제 모든 거 내려놓으시고 편안해지시길 소망합니다.
나의 어머니. 우리 모두의 어머니.
사랑합니다.
서영지 기자 vivian@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