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8 (토)

평화, 당 진로 놓고 '끝장토론'…제3지대 창당론 향배 '기로'(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당내 기구 설치로 제3지대 모색" vs "당장 신당 창당 논의를"

반당권파, 창당 준비 모임 출범 방침…탈당 시기도 관심

연합뉴스

굳은 표정의 정동영 대표와 유성엽 원내대표
(서울=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와 유성엽 원내대표가 16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굳은 표정으로 참석해 있다. 이날 민주평화당은 심야 의원총회를 열고 제3지대 창당론을 비롯한 당의 진로를 놓고 끝장토론을 벌인다. 2019.7.16 cityboy@yna.co.kr



(서울=연합뉴스) 설승은 기자 = 민주평화당은 16일 서울 모처에서 심야 의원총회를 열어 당의 진로를 둘러싼 '끝장토론'을 시도한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독자적 자강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정동영 대표를 필두로 한 당권파와 제3지대 정당 창당에 나서자는 유성엽 원내대표 등 반(反) 당권파가 공개적으로 논쟁에 나서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당내에선 이번 의총을 기점으로 당 내홍이 일단 내연하며 숨 고르기에 들어갈 가능성이 거론되지만, 양측 모두 접점을 찾기는 쉽지 않아 서로의 입장차만 확인한 채 분당 수순에 들어가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앞서 정 대표는 전날 당내 별도 기구를 설치해 제3지대 구성을 논의하자고 반당권파에 갈등 수습을 위한 '절충안'을 제시했지만, 반당권파는 현 체제 연장의 방책일 뿐이라며 일축하는 분위기다.

반당권파는 일단 정 대표 체제로는 총선을 치를 수 없다면서 당이 당장 제3지대 창당 논의에 나서지 않으면 탈당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반면 당권파는 당 체제를 정비·강화하면서 제3지대 논의를 얼마든지 병행할 수 있다면서, 반당권파의 이 같은 요구를 지도부 교체를 위한 '당권 투쟁'이라고 보고 있다.

정 대표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당의 미래를 놓고 진지하게 논의하겠다"면서도 "다만 논의의 초점이 당 대표직을 내려놓게 하는 것이라면 그 논의는 당권투쟁으로,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반당권파는 이날 의총에서 만약 정 대표가 제3지대 구성 논의 착수 요구를 거부하면 제3지대 창당을 위한 준비모임을 출범하겠다는 방침이다.

반당권파는 그동안 물밑에서 창당 준비 모임 구성 작업을 해왔으며, 모임 이름을 '변화와 희망의 대안정치 연대'(가칭, 약칭 '대안정치')로 하기로 의견을 모은 상태다.

반당권파의 한 의원은 통화에서 "이미 우리는 현 체제로 총선을 치르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결론지었다"면서 "오늘 토론을 통해 정 대표를 설득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의총에는 평화당 소속 의원 14명과 바른미래당 소속이지만 평화당에서 활동하는 박주현·장정숙 의원을 포함해 총 16명 중 김경진 의원을 뺀 15명이 모두 참석할 예정이다.

반당권파가 탈당 등 신당 창당을 위한 모종의 행동에 나설 경우 시점을 어떻게 정리할지도 관심사다.

반당권파는 일부 '당장 탈당하자'는 의견에도 불구, 현재 정계개편 흐름이 무르익지 않았다는 판단하에 당분간 탈당은 하지 않고 정기국회 기간 분위기를 지켜보자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당분간은 창당 준비 모임을 통해 외부 인재를 영입하고 세를 불리면서 창당의 적정한 시기를 저울질 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반당권파 내 일부가 정기국회가 시작하는 9월 이전에 결론을 내려야 한다는 목소리를 여전히 내고 있어 내달 중으로 탈당을 통해 창당에 착수할 가능성도 상존하고 있다.

선도 탈당을 통해 소위 '판'을 흔들어야 정계개편의 흐름이 형성된다는 것이 강경파들의 주장이다.

유 원내대표는 통화에서 "정기국회 전 결론내는 것이 좋다"며 "특히 결산을 위한 8월 임시국회에 앞서 내달 15일 전 매듭지으면 좋지만 여의치 않으면 정기국회 중에라도 결론 내면 된다"고 말했다.

또다른 반당권파 의원은 "준비 모임을 통해 상황을 더 지켜보자는 의견과 당장 탈당하자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어 정기국회 전 탈당하는 의원들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ses@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