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 선정

"100년간 시민들 불편할 것"···예타면제 대전 트램 논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예타 면제 대상 선정된 대전 트램, "대도시에 부적합"

완공 이후에도 다른 교통수단과 섞여 시민 불편 예상

노선 변경이나 굴절버스 등 첨단 교통수단 도입 필요

예비 타당성 조사는 면제받았지만 산 넘어 산이다. '대전 같은 대도시에 메인 교통수단으로는 부적절하다', '건설 이후 100년 동안 시민에게 불편을 줄 것'이란 이야기도 나온다. 건설비가 지하철보다 적게 드는 등 장점도 있지만, 문제점도 만만치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노면전차) 얘기다.

중앙일보

허태정 대전시장이 지난 29일 대전시청 브리핑실에서 연 시정 기자 간담회에서 예비 타당성 조사 면제 사업에 선정된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 계획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는 지난 29일 예비 타당성 조사 면제 대상으로 대전의 경우 트램을 선정했다. 사업비는 6950억원이다. 트램 건설비용은 1㎞당 200억원 정도로 땅을 파고 대형 구조물을 세우는 지하철(1300억원)의 6분의 1, 경전철(500억~600억원)의 3분의 1 수준이다. 공사 기간이 짧고 기존 도로 위에 건설돼 버스 등 다른 교통수단과의 연계성도 좋은 편이다.

중앙일보

대전시내에 도시철도 2호선 트램 홍보 현수막이 걸겨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또 트램은 친환경 교통수단이다. 트램이 지나는 노면에는 잔디를 깔 수 있고, 전기로 운행하기 때문이다. 교통 약자인 어르신, 장애인, 임산부 등이 계단을 오르내리지 않고 이용할 수 있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트램 건설은 단순히 교통수단 하나를 늘리는 것이 아니고 시민의 편리함과 도시 가치를 획기적으로 높이는 계기로 만들겠다”고 했다.

중앙일보

경기 수원시는 친환경 교통수단인 노면전차(트램)을 수원역에서 장안구청까지 6㎞ 구간에 오는 2022년까지 도입하겠다고 사진은 트램 조감도. [사진 수원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점도 많다고 한다. 우선 트램 건설 자체가 적절하냐가 논란이다. 미래철도연구원 정예성 원장은 “외국의 경우 트램은 대부분 도심 외곽 제한된 구간에 건설돼 있다”며 “대전처럼 이미 도시가 형성된 곳에 설치한 경우는 극히 드물다”라고 말했다.

정 원장은 “기존 도로에 트램을 설치하면 차선이 줄어, 건설과정은 물론 건설 이후에도 시민불편이 대단히 클 것”이라며 “이 같은 불편은 적어도 100년은 갈 것”이라고도 했다. 그는 “예타 면제로 사업추진이 불가피하다면 트램 노선을 도심 구간 일부로 변경하는 등 변화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중앙일보

철도기술연구원에 시범운행중인 트램. [중앙포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철도전문가도 “노선 길이가 37.4㎞나 되는 구간에 트램을 설치한다는 것은 난센스”라며 “트램을 비롯한 도시 교통 수단의 노선 결정이 자치단체장을 포함한 정치인의 이해관계에 따라 결정되는 게 문제”라고 했다. 그는 또 “대전시가 정한 대로 도시를 순환하는 형태로 건설하면 이용률이 떨어질 것”이라고 했다. 염홍철 전 대전시장도 “트램 설치과정에서 교통 불편에 따른 시민저항을 이겨내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 허태정 대전시장은 지난 29일 기자회견에서 “가장 중요한 사안은 시민들이 트램을 대중교통 문화로 잘 이해하고 참여하는 것”이라며 “단순한 트램 홍보방식에서 벗어나 대중교통 인식을 전환토록 하겠다”고 해명했다.

트램의 속도도 문제로 지적된다. 우송대 철도경영학과 이진선 교수는 “트램은 버스, 택시 등과 섞여서 운행할 수밖에 없는데 그렇게 하면 시속 20㎞에 불과한 트램 속도가 더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제때 약속된 장소에 도착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대전시 서구 둔산동 대전시청안에 있는 홍보전시관에 걸려 있는 트램 모형. 프리랜서 김성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래 교통수단으로서 적절성도 도마 위에 올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조동호(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지금 대전시가 도입하려는 트램은 차체가 무거운 데다 배터리 용량도 부족해 승객이 중간에 다른 트램으로 갈아타야 하는 불편을 감수할지도 모른다”며 “이왕에 트램을 하려면 다른 기존 트램 대신 새로운 형태의 차량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 교수에 따르면 차체가 무거운 기존 트램 대신 버스를 2〜3대 연결한 굴절버스를 도입하고, 도로에 전기를 깔아 트램은 물론 다른 전기차도 이동 중에 자동으로 충전할 수 있는 첨단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소개했다. 조 교수는 “이런 시스템은 일부 선진국에서 도입했다”며 “대전시가 4차산업 혁명을 선도하겠다고 선언한 만큼 첨단 교통수단을 도입해 세계적인 교통인프라를 구축하는 게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중앙일보

대전 도시철도 2호선 노선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예비 타당성 조사 면제를 받은 트램 건설 예산은 6950억원(2017년 기준)이다. 서대전역〜대전정부청사〜유성온천역〜가수원역까지가 1구간(사업비가 5767억원·32.4km), 가수원 4가에서 서대전역까지(5.0km)가 2구간이다.

2021년 착공해 2025년 완공 목표다. 대전도시철도 2호선은 기존 트램과 달리 공중전선 설치 없이 배터리로 운행되는 무가선 트램이 도입될 예정이다.

대전=김방현 기자 kim.banghyu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