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8 (토)

강연으로 만나는 최초의 한글 점자 훈맹정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영일 교수, 12일 국립한글박물관 강연
서울신문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했지만, 시각장애인은 여전히 글을 읽을 수 없었다. 이들은 480년이 지난 1926년에서야 한글을 읽을 수 있게 된다. 박두성 선생이 만든 최초의 한글 점자 ‘훈맹정음’ 덕분이다.

국립한글박물관이 9일 한글날과 시각장애인의 권리를 보장하고자 지정한 ‘흰 지팡이의 날’(10월 15일)을 맞아 12일 오후 3시부터 박물관 강당에서 ‘손끝으로 읽는 한글, 훈맹정음’ (포스터)강연을 연다. 전 국립장애인도서관장인 김영일 조선대 특수교육과 교수가 훈맹정음의 창제 배경과 원리를 알려 준다.

훈맹정음 창제 이전의 맹아 교육은 1898년 미국인 선교사 홀 부인이 뉴욕식 점자를 활용해 만든 ‘조선훈맹점자’가 처음이다. 그러나 자모음을 풀어 쓰는 조선훈맹점자는 음절 단위로 끊어 읽는 우리말 체계와 맞지 않았다. 조선시대 서민 의료기관인 제생원 맹아부의 교사였던 박두성 선생은 “앞을 보지 못하는 사람에게 모국어를 가르치지 않으면 이중의 불구가 된다”며 1923년 제자들과 ‘조선어 점자연구회’를 조직해 우리말 점자를 만들기 시작했다. 3년 연구 끝에 자음과 모음을 모아쓰고 모음은 가획의 원리를 반영하는 훈민정음 제자 원리에 입각한 ‘훈맹정음’을 창제했다.

강연회는 온라인 사전 신청을 하면 무료로 참석할 수 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