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섯 살 난 아이의 간(肝)은 이미 딱딱해져 있었다. 조직 검사를 하니 간경변 전 단계인 간 섬유화 3기였다. 아이는 유전 질환이 없었고 호르몬 분비도 정상이었다. 의료진은 간의 70%를 차지하는 ‘지방’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지방세포가 간에 염증 반응을 일으켰고, 반복되는 손상으로 점점 굳은 것이다. 이 아이를 진료한 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양혜란 교수는 “아이가 자주 먹던 기름진 음식과 고기가 간에는 술만큼 위험한 ‘독’이었다”며 “이제 비만한 10대에 지방간이 관찰되는 일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해 10대 환자 1만 명 넘어
10대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가장 큰 원인은 비만이다. 초·중·고등학생의 비만율이 높아지면서 10대 지방간 환자도 덩달아 증가했다. 섭취한 에너지(칼로리)보다 소모한 양이 적으면 남은 칼로리가 지방으로 변해 간에 쌓인다. 비만이 일으키는 고지혈증·당뇨병도 지방간 위험을 높인다.
양혜란 교수는 비만클리닉을 찾은 소아·청소년 181명을 대상으로 간 초음파 등 지방간 검사를 해 최근 대한소아과학회에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비만 아이 10명 중 6명(115명·63%)에게 다른 원인 질환 없이 지방간이 관찰됐다. 특히 양 교수는 설문조사 등으로 비만한 아이에 대해 지방간의 위험을 높이는 요인을 분석했다. 그 결과 10세 미만은 남자이면서 복부비만·체지방률이 높을수록 지방간 위험이 컸다. 반면 10세 이상은 복부비만·체질량지수(BMI)가 높고 수면 시간이 짧으며 TV·게임 시간이 길수록 지방간이 잘 생겼다. 양 교수는 “어릴수록 식습관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다는 의미”라며 “5세 전후로 지방세포 수가 반등하는 시기(아디포시티 리바운드)가 있는데, 어릴 때부터 달고 자극적인 음식을 탐닉하면 나중에 비만이 더 빨리, 심하게 오고 지방간 위험도 훨씬 커진다”고 경고했다.
복부 비만에 코 골면 의심해야
지방간을 해소하려면 식습관과 생활습관을 동시에 관리해야 한다. 단순히 음식을 적게 먹는 것은 성장 발달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피해야 한다. 양 교수는 “칼로리보다 음식 종류를 따지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예컨대 칼로리가 같다면 라면보다 영양소가 풍부한 비빔밥을 선택하는 식이다. 탄산음료·과자의 단맛을 내는 액상 과당은 과식을 유발하기 때문에 가급적 멀리하는 게 바람직하다.
빠르게 걷기, 자전거 타기 등 유산소운동도 좋다. 서연석 교수는 “체지방, 특히 내장 지방을 줄이려면 1시간 이상 운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되도록 실내보다 야외에서 하는 게 좋다. 햇빛을 받을 때 피부에서 합성되는 비타민D는 비만으로 인한 지방간 등 합병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박정렬 기자 park.jungryul@joongang.co.kr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