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자치광장] 용산공원, 범정부적 기구 마련돼야/성장현 용산구청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성장현 용산구청장


공원(公園)은 살아 있다. 시간의 흔적을 고스란히 새긴 나무들, 큰길에서부터 사람의 발길이 뜸한 오솔길까지…. 어떤 때는 자연의 섭리에 따라, 어떤 때는 사람들의 편의에 따라 모습이 변하곤 한다. 변화 과정에서 기억해야 할 것은 도시와의 유기적인 조화다.

대한민국의 센트럴파크를 꿈꾸는 용산공원. 지역 한가운데 있으면서 용산구 전체 면적의 8분의1을 차지했던 용산기지가 이전하고, 그 자리에 공원이 조성된다. 1906년 일제가 옛 둔지미 마을 주민들을 강제로 쫓아내고 군용지로 수용한 지 111년 만이다. 분명 공간적 주권회복이라는 상징적 의미와 함께 민족의 자존심을 회복하는 역사적인 사건임에는 틀림없다.

용산공원은 구민 삶에도 많은 영향을 가져올 것이다. 그런 만큼 어떻게 첫발을 내딛는가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관리를 해 나갈 것인지에 대해서도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

용산구는 중앙정부가 놓친 공원의 역사적 가치에 주목했다. 외국군 주둔지로서의 역사뿐만 아니라 그 이전 선조들의 삶까지 관심을 둔 것. 최근 한국 용산 군용수용지명세도를 포함한 일제 용산군용지 수용 관련 문건을 찾은 것도 이러한 노력의 결과다. 명세도 한편에 그려진 후암동~서빙고동 사이 옛길 등은 공원 조성 과정에서 충분히 복원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 사정을 누구보다도 잘 아는 기초 지자체이기에 디테일에 강하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 중앙정부가 용산공원의 큰 그림을 그리는 역할이라면 공원과 구민 삶의 조화를 이뤄 나가는 역할은 우리 용산구의 몫이 돼야 한다.

용산구는 그동안 미국 대사관 예정 부지, 드래곤힐 호텔 등 미군 잔류 시설의 이전을 요구해 왔다. 백번 양보해서 국가안보상 어쩔 수 없이 존치돼야 하는 시설들은 국민적 동의와 이해를 구한 다음 한쪽 가장자리로 재배치해야 할 것이다. 공원 조성 이후 구민들이 실질적으로 느끼게 될 교통문제는 물론 부대 내 환경오염에 대한 조사와 복원계획 수립 과정에서도 용산구의 참여가 이뤄져야 한다.

무엇보다도 용산공원이 지닌 역사적 가치를 지켜내는 것, 자치구 혼자만의 힘으로는 어렵다. 아픈 역사도 우리의 역사일 것인데 미8군 전몰자 기념비를 평택으로 이전하는 과정에서 우리 용산구의 자리는 없었다.

최근 국토교통부와 서울시가 용산공원을 비롯한 공동현안들을 해결하기 위해 핵심정책협의 태스크포스(TF)팀을 만들었다. 여기에서 그칠 게 아니라 특별법 개정을 통한 총리실 산하 범정부적 기구 조성을 제안한다. 그래서 국토부는 물론 환경부와 국방부, 서울시, 용산구까지 다양한 주체가 참여해 용산공원의 가치를 온전히 지켜 나가야 할 것이다.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