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7 (금)

“바닷모래 공급 올스톱 되나” 레미콘 업계 초긴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옹진군 해상 모래채취 8월말 종료… 수도권 건설 현장 골재 대란 우려

옹진군도 지방세수 확보 차질 걱정

동아일보

27일 인천 중구 남항 바닷모래 부두의 A업체. 바지선에 실은 바닷모래는 남항부두에 닿자마자 출고되는 바람에 야적장에서 모래를 찾을 수 없다. 차준호 기자 run-juno@donga.com


인천에 본사를 둔 레미콘 제조업체 A사는 8월 말부터 예상되는 바닷모래 파동에 대비한 방책을 짜내느라 고심하고 있다. 바닷모래 확보가 어려울 경우 부순 모래를 더 확보하는 방안 등을 찾고 있는 것이다. A사는 매월 9만 m³의 레미콘을 생산해 아파트 신축 공사장을 비롯한 건설현장에 공급한다. 이 중 70%를 바닷모래로 충당하고 있다. 나머지는 부순 모래 등을 사용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인천 앞바다에서 바닷모래 공급이 원활치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면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우려가 작지 않다”며 “10여 년 전 바닷모래 파동 때처럼 건설업계가 다시 침체에 빠지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수도권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바닷모래의 70%가량을 공급하는 인천 옹진군 관내 해상의 모래 채취가 8월 말 종료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골재 대란이 우려된다.

바닷모래 채취로 확보되는 연간 250억 원의 세수(稅收)가 재정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옹진군도 자칫 지방 세수 확보에 어려움을 겪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

27일 한국바다골재협의회와 레미콘 업계에 따르면 2018∼2022년 옹진군 선갑도 인근 해역에서 바닷모래 4500만 m³를 채취하기 위한 해상교통안전진단 용역을 2월부터 실시했다. 수십억 원을 들여 해역이용협회에 의뢰해 나온 용역보고서를 4월 초 해양수산부에 제출했다. 그러나 해수부 심의 결과, 안전 대책이 다소 미흡하다는 이유로 3차에 걸쳐 보완 결정이 내려졌다.

해수부는 이 해역이 어선, 화물선, 여객선이 자주 운항하는 통항(通航) 밀집 지역은 아니지만 바닷모래를 채취하는 사업 구역과 선박 항로가 가까워 더 구체적인 해상교통안전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해수부 관계자는 “업계에서 용역보고서를 낸 선갑도 바닷모래 채취 구역은 인근 해상을 다수의 선박이 통항해 ‘안전 통항’을 위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바다골재협의회는 이 같은 내용을 보완한 보고서를 작성해 다시 해수부에 제출하고 재심의를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협의가 이뤄진다고 해도 해역이용협의를 비롯한 행정 절차를 마무리하는 데는 절대시간이 필요하다. 결국 8월 말 이후 바닷모래 채취가 당분간 중단돼 골재 파동이 우려된다는 얘기가 나온다. 대한건설협회에서는 8월 말 이후 수도권 건설현장이 멈춰 서는 사태를 막기 위해서라도 국토교통부가 해수부와 협의해 실효성 있는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현재 바닷모래 채취는 인천 옹진군 굴업도 인근 해상에서 벌어지고 있다. 올해 채취허가 물량은 총 650만 m³다. 하루 평균 3만 m³씩 채취해 바닷모래 허가 물량은 100만 m³ 정도 남은 수준이다. 7, 8월 금어(禁漁)기에 들어가면 하루 평균 바닷모래 채취량을 절반으로 줄여야 해 8월 말이면 올해 허가 물량은 동이 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남해 배타적경제수역(EEZ)에서도 바닷모래 채취가 중단되면서 부산 경남 지역 건설현장은 서해에서 채취한 바닷모래를 쓰고 있는 형편이다.

한국바다골재협의회 인천지회 관계자는 “한국 건설현장은 바닷모래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어 골재 대란이 벌어지면 피해가 막심하다”며 “업계는 해양 환경 및 어업 훼손을 최소화하는 친환경 채취 방법을 찾고, 지방자치단체는 골재사업자로부터 걷는 채취 세수를 해양 환경 복원과 어민 지원에 재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차준호 기자 run-juno@donga.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