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8 (토)

철강 구조조정 컨설팅 완료...'후판설비 감축, 강관업체 통폐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상보)보스턴컨설팅그룹, 2020년까지 글로벌 철강 공급과잉 7억~12억톤 예상]

머니투데이

포스코 광양제철소 후판공장 모습. /사진=포스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철강업계 구조조정 컨설팅 결과 후판 설비를 추가 감축하고, 강관업체의 통폐합이 시급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28일 한국철강협회는 지난 5월 BCG(보스턴컨설팅그룹)에 의뢰한 철강업계 구조조정 연구용역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된 최종보고서에는 글로벌 철강시장에 대한 수요전망을 바탕으로 철강제품별 경쟁력을 진단하면서 운영 효율성 극대화 및 고부가제품 확대 방안 등이 제시됐다.

BCG는 "글로벌 철강수요는 향후 2030년까지 연 1%대의 저성장이 예상된다"며 "중국이 생산능력을 축소한다고 해도 2020년에 7억~12억톤의 조강생산능력 과잉현상이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BCG는 제철 설비의 경우 고로는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했으나 전기로는 고급 철스크랩 공급 부족으로 중소업체 경쟁력이 특히 취약한 것으로 바라봤다. 판재류는 높아지는 무역장벽으로 수출전선에 차질이 예상되며, 후판 및 강관은 조선 수주 절벽과 저유가에 따른 자원개발 침체로 심각한 공급과잉이 우려된다고 봤다. 철근, 형강 등 내수품목도 수입산 급증세가 위협적이라고 지적했다.

BCG는 크게 4개의 제품군으로 분류해 경쟁력 강화 방안을 제시했다.

△냉연강판 등 판재류는 향후 미래소재 개발 및 수출기반 확대를 통한 경쟁력 제고가 필요 △후판은 선박 수주 급감에 따른 수요 감소로 생산 설비 감축 필요 △철근, 형강은 스케일 기반의 수익성 개선과 철강재 안전 규격 강화 등 필요 △강관은 기업활력법(원샷법) 등을 통한 기업간 자발적 재편 등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역시 컨설팅 결과를 바탕으로 철강산업 정책 방향을 △친환경 및 IT화를 통한 설비 경쟁력 강화 △경쟁열위·공급과잉 품목에 대한 사업재편 △고부가 철강재 및 경량 소재 등 조기개발 △새로운 수출시장 개척과 부적합 철강재 유통 방지 등으로 잡았다.

주형환 산업부 장관은 28일 서울정부청사에서 열린 제3차 산업구조조정분과회의에서 "고로는 온실가스 감축 추세에 맞춰 친환경 설비로 전환하고, 전기로는 이미 노후 설비 위주로 15% 가량 감축했지만, IT 활용한 공정혁신 통해 비용을 절감할 것"이라고 정책 방향을 밝혔다.

주 장관은 "판재류는 범용재보다는 고부가강판 경량소재 중심으로 전환해야하며, 이를 위해 M&A, R&D, 첨단설비 구축 등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요구된다"며 "후판은 과거 같은 호황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기존 생산중단에 더해 후판설비 감축 및 매각 등 선제적 설비 조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강관은 경쟁력 확보한 강관업체 중심으로 한계기업이 보유한 설비 통폐합을 유도하는 한편 고강도 강관 등 고부가 제품으로 전환도 추진해야 한다"며 "철근, 형강 등 내수품목은 불량 위조 수입재 유통방지 등 시장관리에 역점을 두겠다"고 말했다.

철강협회 관계자는 "업계가 자율적으로 비용을 분담해 추진된 이번 컨설팅이 객관적 시각에서 포괄적으로 국내외 환경변화에 따른 철강산업의 영향을 분석하고 경쟁력 개선을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를 진단하는 기회였다"며 "향후 철강산업과 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한 경쟁력 강화에 다양하게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철강협회는 글로벌 철강공급과잉과 수요 위축에 따른 국내 철강산업의 어려움이 가중됨에 따라 글로벌 관점에서 국내 철강산업의 경쟁력을 진단하고 지속성장 방안을 모색하고자, 지난 5월 BCG에 의뢰해 컨설팅을 추진했다.

약 4달에 걸쳐 추진된 컨설팅에는 포스코, 현대제철 등 협회 주요 회원사가 참여하고, 학계와 연구계로 구성된 '업계․전문가협의회'를 통해 개별기업이 아닌 산업 전체의 관점에서 철강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들을 지속적으로 논의해왔다.

최우영 기자 young@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