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화요일 친절한 경제, 권애리 기자 나와 있습니다. 권 기자, 금리가 곧 내린 거란 기대가 많은데, 요새 은행 가보면 대출 금리는 오히려 오르고 있잖아요. 정부의 정책 대출 상품 금리도 오를 예정이고요?
<기자>
이번 주 금요일부터 신한은행의 각종 대출상품의 금리가 0.2에서 최대 0.5% 포인트씩 다시 한번 오릅니다.
이달 들어서 벌써 두 번째 올리는 거고요.
지난 한 달 동안에는 무려 다섯 번째 금리 인상 결정입니다.
금리를 올려서 가계대출이 더 이상 빠르게 늘어나지 않도록 누르겠다는 조치입니다.
은행들의 이런 조치는 금융당국과 협의를 진행하면서 나오게 되는데요.
정부도 특히 인기가 많은 서민 정책대출 금리를 역시 이번 주 금요일부터 몇 가지 올립니다.
정부가 내주는 특별히 이자가 낮고 조건이 좋은 이런 정책대출 상품들이 최근 가계대출 급증세의 주된 원인 중 하나로 지목돼 왔죠.
지난 2분기에 급증한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중에서 60%가 디딤돌 대출을 비롯한 정책 상품이었다는 집계도 있습니다.
이들 상품은 스트레스 DSR 규제도 받지 않아서 수요가 더더욱 몰린 걸로 분석됩니다.
다만 신생아 특례대출, 그리고 전세사기 피해자를 위한 대출 금리는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앵커>
이게 지금 가계대출 증가세가 심상치 않다. 이런 판단 때문인 거죠?
7월 한 달 동안만 은행권 가계대출은 5조 5천억 원이 또 늘었습니다.
3월에는 감소세가 나타났는데, 4월 이후로 지금 4개월째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최근 들어서 그 증가 속도가 다시 빨라지는 기미가 보인다는 겁니다.
5대 은행에서 이달 들어서 첫 8일 동안 가계대출이 무려 2조 5천억 원 가까이 불어난 걸로 집계되기도 했습니다.
부동산도 부동산이지만 주식시장에서도 이른바 빚투, 빚내서 투자하는 사람들이 늘어날 때 보이는 모습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지난주 월요일에는 증시의 대기자금인 투자자 예탁금이 하루 만에 무려 5조 6천억 원 넘게 반짝 늘어나는 모습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지난주에 뉴욕증시를 비롯해서 전 세계 증시가 이른바 널뛰기 장세를 보였죠.
이럴 때 갑자기 가격이 크게 떨어진 인기 주식들을 사들이는 기회로 삼겠다는 수요가 몰린 걸로 분석됩니다.
금리는 내려갈 거니까 빚을 내서 부동산으로든 증시로든 가자는 움직임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는 겁니다.
<앵커>
기준금리가 인하된다고 해도 지금보다 이자 부담이 많이 줄지는 않을 거다. 이런 전망도 나오던데 이거는 왜 그런 겁니까?
<기자>
최근의 대출금리 오름세를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시면 좀 곤란할 수 있습니다.
은행들이 가산금리 대출을 내주면서 가져가는 은행들의 마진을 조금씩 올리고 있는 지금 모습이 좀 더 장기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겁니다.
[윤여삼/메리츠증권 연구위원 : '금리인하가 이제 얼마 안 남았으니까 금리인하 시작하고 나면 여기서 더 떨어지는 거 아닐까' 기대하시는데, 오히려 금리인하를 하면 가산금리들이 좀 정상화되면서 대출금리는 더 많이 빠지지 않을 거고요. (현재 3.5%에서) 2.75% 정도로 기준금리가 떨어져야 지금 은행들이 대환 대출해주고 있는 3% 중후반대 대출금리들이 정당화될 수 있는 기준금리가 딱 그 정도 수준입니다.]
고금리 시기 이후로 은행들이 금융당국과 얘기하면서 가산금리를 좀 낮춰서 대출이자를 일정 선에서 유지해 온 면이 있었던 게 사실입니다.
이제는 가계대출이 더 이상 빠르게 늘어나서는 안 되는 게 중요해지면서 역시 금융당국과의 협의 속에서 가산금리 낮췄던 걸 다시 올리고 있다는 겁니다.
이렇게 되면 기준금리가 내려도 시중 대출금리는 큰 변화가 없을 가능성이 크고요.
앞으로 금리가 내릴 거란 전망까지 고려해서 영끌 빚투 하셨다가는 생각 못 한 부담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같은 관점에서 사실 금리 인하기에는 변동금리 대출이 더 유리하다, 이런 게 기존의 상식처럼 통하기는 하죠.
하지만 지금 우리 금융시장에서는 여전히 고정금리가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고정대출이 지금도 변동보다 금리가 낮은 편이고요.
앞으로도 시중 변동금리가 크게 내려가기 어렵다고 보면 고정금리로 대출을 내는 게 당분간은 계속 유리하다,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권애리 기자 ailee17@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화요일 친절한 경제, 권애리 기자 나와 있습니다. 권 기자, 금리가 곧 내린 거란 기대가 많은데, 요새 은행 가보면 대출 금리는 오히려 오르고 있잖아요. 정부의 정책 대출 상품 금리도 오를 예정이고요?
<기자>
이번 주 금요일부터 신한은행의 각종 대출상품의 금리가 0.2에서 최대 0.5% 포인트씩 다시 한번 오릅니다.
이달 들어서 벌써 두 번째 올리는 거고요.
지난 한 달 동안에는 무려 다섯 번째 금리 인상 결정입니다.
KB국민은행이나 우리은행 같은 다른 5대 은행들도 3분기 들어서 잇따라 대출금리를 여러 번 올리고 있습니다.
금리를 올려서 가계대출이 더 이상 빠르게 늘어나지 않도록 누르겠다는 조치입니다.
은행들의 이런 조치는 금융당국과 협의를 진행하면서 나오게 되는데요.
정부도 특히 인기가 많은 서민 정책대출 금리를 역시 이번 주 금요일부터 몇 가지 올립니다.
무주택자들의 첫 집 마련을 돕는 디딤돌 대출, 그리고 전세대출인 버팀목 대출의 기본 금리를 0.2에서 0.4% 포인트씩 일제히 올리는 겁니다.
정부가 내주는 특별히 이자가 낮고 조건이 좋은 이런 정책대출 상품들이 최근 가계대출 급증세의 주된 원인 중 하나로 지목돼 왔죠.
지난 2분기에 급증한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중에서 60%가 디딤돌 대출을 비롯한 정책 상품이었다는 집계도 있습니다.
이들 상품은 스트레스 DSR 규제도 받지 않아서 수요가 더더욱 몰린 걸로 분석됩니다.
정부가 내주는 대출이니까 앞으로 시중 금리가 좀 더 올라갈 경우까지 미리 고려해서 내가 받을 수 있는 대출 규모를 제한받는 규제가 해당 안 되는 겁니다.
다만 신생아 특례대출, 그리고 전세사기 피해자를 위한 대출 금리는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앵커>
이게 지금 가계대출 증가세가 심상치 않다. 이런 판단 때문인 거죠?
<기자>
7월 한 달 동안만 은행권 가계대출은 5조 5천억 원이 또 늘었습니다.
3월에는 감소세가 나타났는데, 4월 이후로 지금 4개월째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최근 들어서 그 증가 속도가 다시 빨라지는 기미가 보인다는 겁니다.
5대 은행에서 이달 들어서 첫 8일 동안 가계대출이 무려 2조 5천억 원 가까이 불어난 걸로 집계되기도 했습니다.
부동산도 부동산이지만 주식시장에서도 이른바 빚투, 빚내서 투자하는 사람들이 늘어날 때 보이는 모습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지난주 월요일에는 증시의 대기자금인 투자자 예탁금이 하루 만에 무려 5조 6천억 원 넘게 반짝 늘어나는 모습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지난주에 뉴욕증시를 비롯해서 전 세계 증시가 이른바 널뛰기 장세를 보였죠.
이럴 때 갑자기 가격이 크게 떨어진 인기 주식들을 사들이는 기회로 삼겠다는 수요가 몰린 걸로 분석됩니다.
금리는 내려갈 거니까 빚을 내서 부동산으로든 증시로든 가자는 움직임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는 겁니다.
<앵커>
기준금리가 인하된다고 해도 지금보다 이자 부담이 많이 줄지는 않을 거다. 이런 전망도 나오던데 이거는 왜 그런 겁니까?
<기자>
최근의 대출금리 오름세를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시면 좀 곤란할 수 있습니다.
은행들이 가산금리 대출을 내주면서 가져가는 은행들의 마진을 조금씩 올리고 있는 지금 모습이 좀 더 장기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겁니다.
[윤여삼/메리츠증권 연구위원 : '금리인하가 이제 얼마 안 남았으니까 금리인하 시작하고 나면 여기서 더 떨어지는 거 아닐까' 기대하시는데, 오히려 금리인하를 하면 가산금리들이 좀 정상화되면서 대출금리는 더 많이 빠지지 않을 거고요. (현재 3.5%에서) 2.75% 정도로 기준금리가 떨어져야 지금 은행들이 대환 대출해주고 있는 3% 중후반대 대출금리들이 정당화될 수 있는 기준금리가 딱 그 정도 수준입니다.]
고금리 시기 이후로 은행들이 금융당국과 얘기하면서 가산금리를 좀 낮춰서 대출이자를 일정 선에서 유지해 온 면이 있었던 게 사실입니다.
이제는 가계대출이 더 이상 빠르게 늘어나서는 안 되는 게 중요해지면서 역시 금융당국과의 협의 속에서 가산금리 낮췄던 걸 다시 올리고 있다는 겁니다.
이렇게 되면 기준금리가 내려도 시중 대출금리는 큰 변화가 없을 가능성이 크고요.
앞으로 금리가 내릴 거란 전망까지 고려해서 영끌 빚투 하셨다가는 생각 못 한 부담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같은 관점에서 사실 금리 인하기에는 변동금리 대출이 더 유리하다, 이런 게 기존의 상식처럼 통하기는 하죠.
하지만 지금 우리 금융시장에서는 여전히 고정금리가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고정대출이 지금도 변동보다 금리가 낮은 편이고요.
앞으로도 시중 변동금리가 크게 내려가기 어렵다고 보면 고정금리로 대출을 내는 게 당분간은 계속 유리하다,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권애리 기자 ailee17@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