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통계로 말하는 뉴스, 퍼센트 시간입니다. 얼마 전, 인공 지능, 이른바 AI가 만든 가짜 이미지 한 장에 전 세계가 속았습니다. 그런데 이런 일은 '이제 시작'이란 얘기들이 나오는데요.
앞으로 우리 사회에 미칠 AI의 영향력은 어느 정도일까요? 안지현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전 세계를 속이며 미 금융 시장까지 영향을 준 한 장의 사진.
미 국방부인 '펜타곤' 주변에 폭발물이 터진 모습인데 인공지능, 즉 AI를 이용해 만든 가짜였죠.
화염에 휩싸인 프랑스 엘리제궁 모습도 마찬가지.
AI로 인한 가짜 이미지가 유통되는 것, 전문가들은 "이제 시작"이라고 말합니다.
[강정수/'생성 AI 혁명' 저자·미디어스피어 박사 : 펜타곤 같은 경우에는 굉장히 충격적인 사실에 가까운 느낌을 전달했기 때문에…가장 두려운 것은 한국으로 치면 카카오톡이라든지 문자 메신저로 확산되는 이런 부분들은 제어하기 되게 어렵죠.]
지난달, 미 공화당이 공개한 30초짜리 영상.
바이든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할 경우를 가정한 건데, 모두 AI가 만든 가상의 모습입니다.
AI로 가짜 뉴스를 만들어내는 사이트가 전 세계적으로 125개나 달한다는 조사 결과도 있습니다.
[강정수/'생성 AI 혁명' 저자·미디어스피어 박사 : 지금부터 규제한다고 규제할 수가 없어요. 인공지능이 진화하는 속도가 너무나도 빠르고… 어느 정도 이 고통을 겪으면서 효과적인 대응 방안들, 효과적인 규제 방안 등을 논의할 수밖에 없습니다.]
AI가 정치 등 여러 영역에서 이미 '현실'로 다가온 건데, 앞으로 어떤 영향을 우리 사회에 미칠지도 따져봤습니다.
그래서 저희가 AI 관련해 주목한 퍼센트는 23%입니다.
저희가 만난 또 다른 전문가는, 구체적으론 숙련도가 낮은 사무직이 위협받을 수 있다고 했습니다.
[김상학/한양대 사회학과 교수 : 중간 혹은 조금 낮은 단계의 사무직 노동자들에 (AI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확률이 대단히 높은데, 소위 얘기하는 중간 계급의 붕괴라든지 악화가 더 심화되는…]
사회경제적 격차를 키울 가능성도 있다는 겁니다.
통계청이 집계한 지난해 3월 기준, 하위 20% 가구의 자산은 상위 20%의 1.5% 수준에 그쳐, 역대 최대 '빈부 격차'로 기록됐죠.
또, 디지털 정보격차의 경우도, 4대 정보 취약계층, 그러니깐 저소득과 고령층, 장애인과 농어민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일반인의 76.2%에 그쳤다고 집계됐습니다.
AI 기술도 이들이 상대적으로 소외될 수 있습니다.
[김상학/한양대 사회학과 교수 : 사회·경제적 지위를 가지고 있던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더 쉽게 진입하거나 그것을 사용해 편익을 취할 수 있는 가능성이 훨씬 더 높기 때문에 기존의 사회·경제적인 불평등은 강화될 방향으로 강화될 가능성이 높고요.]
하지만 이같은 우려 속에서도 동시에 AI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희망이 될 수 있단 목소리도 나옵니다.
[강정수/'생성 AI 혁명 저자'·미디어스피어 박사 : 기본적으로 인공지능은 인간이 사고해야 될 도구입니다. 전기처럼 과거에 불가능했던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중요한 도구라는 거죠. 사회적으로 이러한 교육들이 있어야 해요.]
대표적인 AI인 챗GPT에게도 물어봤습니다.
"적절한 규제와 감독체계를 마련한다면 빈부격차를 줄이는 방향으로도 AI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는 청사진을 내놨습니다.
지금까지 퍼센트의 안지현이었습니다.
(작가 : 최지혜 / 영상디자인 : 김충현·강아람·허성운 / 영상그래픽 : 김영진 / 인턴기자 : 최윤희)
안지현 기자 , 이주원, 유연경, 이학진, 이휘수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통계로 말하는 뉴스, 퍼센트 시간입니다. 얼마 전, 인공 지능, 이른바 AI가 만든 가짜 이미지 한 장에 전 세계가 속았습니다. 그런데 이런 일은 '이제 시작'이란 얘기들이 나오는데요.
앞으로 우리 사회에 미칠 AI의 영향력은 어느 정도일까요? 안지현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전 세계를 속이며 미 금융 시장까지 영향을 준 한 장의 사진.
미 국방부인 '펜타곤' 주변에 폭발물이 터진 모습인데 인공지능, 즉 AI를 이용해 만든 가짜였죠.
저희도 이미지 생성 AI인 '미드저니'를 통해서 '한국 국방부 건물의 화재 모습'을 주문하니, 1분도 안 돼 금방 이미지를 만들어냅니다.
화염에 휩싸인 프랑스 엘리제궁 모습도 마찬가지.
AI로 인한 가짜 이미지가 유통되는 것, 전문가들은 "이제 시작"이라고 말합니다.
[강정수/'생성 AI 혁명' 저자·미디어스피어 박사 : 펜타곤 같은 경우에는 굉장히 충격적인 사실에 가까운 느낌을 전달했기 때문에…가장 두려운 것은 한국으로 치면 카카오톡이라든지 문자 메신저로 확산되는 이런 부분들은 제어하기 되게 어렵죠.]
내년 11월 대선을 앞둔 미국에선 이미 AI가 정치 분야에서 활발히 쓰이고 있습니다.
지난달, 미 공화당이 공개한 30초짜리 영상.
바이든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할 경우를 가정한 건데, 모두 AI가 만든 가상의 모습입니다.
AI로 가짜 뉴스를 만들어내는 사이트가 전 세계적으로 125개나 달한다는 조사 결과도 있습니다.
양 진영 간 극단적 대립 등 AI로 인한 여러 부작용이 우려되지만, 현재로선 규제로는 한계가 있단 지적입니다.
[강정수/'생성 AI 혁명' 저자·미디어스피어 박사 : 지금부터 규제한다고 규제할 수가 없어요. 인공지능이 진화하는 속도가 너무나도 빠르고… 어느 정도 이 고통을 겪으면서 효과적인 대응 방안들, 효과적인 규제 방안 등을 논의할 수밖에 없습니다.]
AI가 정치 등 여러 영역에서 이미 '현실'로 다가온 건데, 앞으로 어떤 영향을 우리 사회에 미칠지도 따져봤습니다.
그래서 저희가 AI 관련해 주목한 퍼센트는 23%입니다.
세계경제포럼은 "AI로 인해 우리나라 일자리의 23%는 앞으로 5년 내 사라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저희가 만난 또 다른 전문가는, 구체적으론 숙련도가 낮은 사무직이 위협받을 수 있다고 했습니다.
[김상학/한양대 사회학과 교수 : 중간 혹은 조금 낮은 단계의 사무직 노동자들에 (AI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확률이 대단히 높은데, 소위 얘기하는 중간 계급의 붕괴라든지 악화가 더 심화되는…]
사회경제적 격차를 키울 가능성도 있다는 겁니다.
통계청이 집계한 지난해 3월 기준, 하위 20% 가구의 자산은 상위 20%의 1.5% 수준에 그쳐, 역대 최대 '빈부 격차'로 기록됐죠.
또, 디지털 정보격차의 경우도, 4대 정보 취약계층, 그러니깐 저소득과 고령층, 장애인과 농어민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일반인의 76.2%에 그쳤다고 집계됐습니다.
AI 기술도 이들이 상대적으로 소외될 수 있습니다.
[김상학/한양대 사회학과 교수 : 사회·경제적 지위를 가지고 있던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더 쉽게 진입하거나 그것을 사용해 편익을 취할 수 있는 가능성이 훨씬 더 높기 때문에 기존의 사회·경제적인 불평등은 강화될 방향으로 강화될 가능성이 높고요.]
하지만 이같은 우려 속에서도 동시에 AI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희망이 될 수 있단 목소리도 나옵니다.
[강정수/'생성 AI 혁명 저자'·미디어스피어 박사 : 기본적으로 인공지능은 인간이 사고해야 될 도구입니다. 전기처럼 과거에 불가능했던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중요한 도구라는 거죠. 사회적으로 이러한 교육들이 있어야 해요.]
대표적인 AI인 챗GPT에게도 물어봤습니다.
"적절한 규제와 감독체계를 마련한다면 빈부격차를 줄이는 방향으로도 AI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는 청사진을 내놨습니다.
지금까지 퍼센트의 안지현이었습니다.
(작가 : 최지혜 / 영상디자인 : 김충현·강아람·허성운 / 영상그래픽 : 김영진 / 인턴기자 : 최윤희)
안지현 기자 , 이주원, 유연경, 이학진, 이휘수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