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지역中企 대출 많은 지방은행 '코로나 직격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무디스, 부산·대구·제주·경남은행 신용등급 하향 검토 착수

지방기업 대출 비중 크고 몇년째 이어진 기간산업 부진도 우려

정부 건전성 지표 완화하며 코로나19 대출 등 독려하지만

"지표는 후행적..연체율 상승 현실화될 경우 정부 정책도 어려워"

[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신종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감염증이 확산하며 지방은행 건전성에 대한 경고음이 나오고 있다. 글로벌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지방은행 4곳에 대한 신용등급 하향 조정을 검토하겠다고 경고한 데 따른 것이다.

일각에서는 지방은행의 신용등급 하락이 현실화하면 대형 은행에 대한 건전성 우려까지 불거지며 혼란이 커질 수 있다고도 우려한다.

29일 은행권에 따르면 무디스의 국내 지방은행 신용등급 하향 조정 검토 이후 코로나 사태 이후 은행권들의 건전성 우려가 커지고 있다.

무디스는 지난 24일 한국이 코로나19의 새로운 진앙지가 되고 있다며 부산은행, 대구은행, 제주은행, 경남은행의 신용등급 하향 조정 검토에 착수한 바 있다. 지방은행들이 지역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 규모가 크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대구은행은 국내 코로나 총 감염자수 86%가 대구·경북지역에 집중돼 있는데다 제조업과 서비스업에 대한 여신 비중이 커 경기침체의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고 무디스는 설명했다. 제주은행 역시 코로나19 이후 관광객이 줄어들며 지역경제가 휘청이고 있다. 제주도의 2월 관광객 수는 2019년 2월보다 43% 감소한 바 있다.

무디스의 이 같은 지적에 대해 우리 은행권은 올 게 왔다는 반응이다. 지방은행의 경우 대손충당금적립률이 지난해 말 기준 97.6%로 시중은행(120.6%)에 한참 부족한 상황이다. 대손충당금적립률은 부실여신이 모두 부도가 났을 때 은행이 쌓아놓은 충당금으로 감당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몇 년째 이어진 조선업 부진과 자동차업계 불황 등으로 대손충당금 전입액이 시중은행에 비해 부족한 상황이다. 게다가 신종자본증권이나 후순위채를 발행하기에는 수요가 부족해 이렇다할 자본금 확충도 어려운 처지다.

이데일리

[그래픽= 김정훈 기자]


금감원은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로 지방은행 역시 불안정한 상황인 점은 알고 있지만 아직까지 연체율을 비롯한 지표 등은 안정적이라고 판단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 이전부터 기간산업 부진에 대한 우려로 이미 일부에서 지방은행에 대한 지적이 나오고 있었던 만큼 계속 지켜보고 있다”면서 “여신이나 수신 등 은행 본연의 기능을 해나가면서 위험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소통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 지방은행 역시 “코로나19 사태가 언제 끝날지도, 이로 인한 실물경제 타격이 어느 정도일지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지만 지방은행은 지역과 밀착해야 한다는 원칙은 변함없다”면서 “비대면 등 신규 서비스로 신규 고객을 발굴하고 수익성을 확대해 나갈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은행권에서는 지방은행 건전성에 대한 경고를 외면해선 안된다고 지적한다. 게다가 지방은행 신용등급 하락이 현실화될 경우 대형 시중은행에도 그 우려가 퍼질 수 있다고도 본다. 시중은행 역시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 규모’가 상당히 커진 상태이기 때문이다.

2019년 말 기준 국민·신한·우리·하나 등 4대 은행의 중소기업 대출은 369조9000억원 수준으로 2018년 말(343조9650억원)보다 7.5% 증가했다. 지난해부터 정부가 혁신금융과 중소기업 대출 확대를 적극적으로 요청해왔기 때문이다. 게다가 최근 이들 대형은행은 최근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에 코로나 대출을 확대하거나 만기연장을 하는 등 정부의 대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해외 신용평가사들이 대형 시중은행 등급에 대해서도 하락 가능성을 언급하면 문제는 심각해질 수 있다”면서 “우리 금융당국에서는 소상공인이나 기업들에 지원을 할 경우, 건전성 기준을 완화하는 등 지원을 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외국 신평사는 우리 금융당국의 일시적 조치를 고려하지 않은 채 신용등급을 조절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연체율을 비롯한 신용지표는 후행적이기 때문에 지금 당장 나타나지 않겠지만, 만일 좋지 않은 숫자가 지표로 발견되기 시작하면 연쇄적으로 은행권이 보수화되며 은행권의 대출 확대를 독려하는 정부의 정책에도 잡음이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