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코로나에 분노한 민심 ‘문 대통령 탄핵’ 청원 100만 넘었다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국 모든 지역 입국 금지했어야”

친문 놀이터 국민청원 부메랑 돼

‘대통령 응원’도 72만, 세 대결 양상

‘내가 잘못되면 국가 책임’ 청원도

‘문재인 대통령의 탄핵을 촉구한다’는 청와대 국민청원이 27일 정오쯤 참여 인원 100만명을 넘겼다. 지난 25일 오후 답변기준인 20만 명을 넘긴 지 이틀 만에 80만 명 이상이 가세한 것이다. 지난 4일 올라온 해당 청원은 “중국 모든 지역을 입국 금지했어야 한다”고 비판하며 “문재인 대통령을 우리나라 대통령이라 생각하기 어렵다”고 ‘탄핵’을 주장했다.

2017년 취임 100일을 맞아 청와대 국민청원의 문을 연 문 대통령으로서는 ‘역습’을 당한 셈이다. “국민이 물으면 정부가 답한다”는 모토로 미국 오바마 행정부가 시작한 ‘위더피플(We the people)’을 참고한 국민청원은 당초 취지와 달리 “사회 통합보단 갈등과 혐오와 폭로만 부추긴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이에 여권은 “촛불 정신을 이어받은 직접 민주주의의 본보기”라며 힘을 실었다. 정치 이슈와 관련해선 친여적 성격의 청원에 쏠림 현상이 강해 ‘여권의 확성기’라는 평가였다. 역대 가장 많은 참여 인원이 든 국민청원은 지난해 4월 무려 183만명이 동의한 ‘자유한국당 해산’이었다. 이 밖에 ‘조국 법무부 장관 반드시 임명’(75만7730명) 등에도 많은 이들이 참여했다.

중앙일보

역대 최다 청와대 국민청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탄핵 청원 100만 돌파는 이전과 180도 다른 현상이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청와대 게시판이라는 특성상 국민청원엔 여태 진보, 그중에서도 친문 핵심지지층이 자주 찾으며 그들의 놀이터가 돼 온 게 사실”이라며 “그 반대 현상은 민심 이반의 바로미터로 해석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보수의 학습효과’라는 분석도 한다. 임동욱 한국교통대 교수는 “청와대 게시판에 들어가는 것 자체를 꺼리던 보수 진영이 상대의 심장이라는 청와대 국민청원을 점령했다는 것은 단순한 해프닝으로 볼 일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반면, ‘문재인 대통령님을 응원합니다’ 청원도 참여자가 급속히 늘고 있다. 청원자는 26일 “악조건 속에서도 대통령은 오직 국민의 안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수많은 가짜뉴스가 대통령과 질병관리본부, 부처를 힘들게 하지만 수많은 국민은 문 대통령을 믿고 응원하고 있다”고 적었다. 탄핵 청원의 ‘맞불’ 성격인 이 청원은 27일 오후 8시 기준 72만여 명이 참여하고 있다. 지난 4월 한국당 해산 청원(183만명)이 확산하자 더불어민주당 해산 청원(33만명)이 등장한 것, 8월엔 조국 전 장관의 임용 반대 청원(30만명)에 이어 임용 찬성 청원(75만명)이 나온 것과 유사하다. 이재묵 한국외대 교수는 “과도한 숫자 싸움이 일상화가 되면 중우정치로 전락할 위험이 크다”고 진단했다.

이날 청와대 청원 게시판에서는 코로나19 검사 결과를 기다린다는 대구의 46세 남성의 청원도 공분을 샀다. 그는 미열 증세를 보여 대구 남구 보건소에 전화했다가 “신천지도 아니고 해외여행을 다녀온 사람도 아니다”라는 이유로 자가격리만 하다가 고열로 쓰러지고 나서야 구급차를 타고 대구의료원 선별진료소에서 진료를 받았다고 한다. 그는 “혹시나 제가 잘못되면 분명 이건 국가가 시민을 죽음에 이르게 한 것”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남구 보건소 측은 “같은 대구 시민으로서 속상한 마음을 충분히 이해한다. 해당 남성은 검사 결과 ‘음성’ 판정을 받았다”면서 “보건소 측에서는 추가 감염을 막기 위해 중국 방문객이나, 신천지 신도, 밀접 접촉자들을 우선적으로 검사할 수밖에 없다. 이런 과정에서 오해가 있었던 거 같다”고 해명했다.

한영익·김홍범 기자

대구=백경서·진창일·윤상언 기자 hanyi@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