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미국·유럽 하늘길도 ‘셧다운’ 초읽기…코로나 19 확산 ‘갈라파고스 코리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EU ‘여행 자제’·美 ‘금지’ 가능성

에어프랑스 등 한국행 중단 검토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한국인 입국 금지 국가가 늘어나는 가운데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이어 프랑스 정부가 여행경보를 ‘3단계(여행 자제)’로 격상하면서 우리나라 항공기의 하늘길 ‘셧다운’이 현실화하고 있다.

영국이 유럽연합(EU)에서 탈퇴한 상황에서 프랑스의 여행경보 격상이 주변국에 미칠 파장은 크다. 국내 코로나19 확진자수가 1000명을 넘어서면서 금명간 미국 국무부의 우리나라에 대한 여행경보가 ‘4단계(여행 금지)’로 격상될 가능성도 점쳐진다. 이에 따라 국내외 항공사의 운항 제한 조치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26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유럽 최대 항공사인 에어프랑스와 네덜란드항공(KLM)은 한국행 노선 운항의 잠정 중단과 환불 등을 검토 중이다. 앞서 에어뉴질랜드는 서울~오클랜드 직항 노선의 운항을 오는 6월까지 중단했다.

델타항공과 유나이티드항공 등 미국 주요 항공사는 한국행 예약 일정을 조정할 경우 수수료를 면제해주고 있다. 앞서 이들 항공사가 중국 운항을 전면 중단한 것을 고려하면 미국 국무부의 조치에 따라 한국행 노선 역시 차단될 가능성이 크다.

국내 항공사의 미주·유럽 노선 감축도 불가피하다. 각국의 여행 금지 조치가 없더라도 여행 수요의 급감만으로 손실이 커질 수 있어서다.

허희영 한국항공대 경영학과 교수는 “중화권에 이어 미주와 유럽의 관광·비즈니스 수요가 떨어지면 장거리 노선 중심의 대형항공사가 직격탄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탑승률 75~80%에서 손익분기점이 정해지는데 50% 미만이면 리스료, 인건비 등 고정비용과 주기료 추가분을 감안해도 비행기를 띄우지 않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

2019년 기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미주·유럽 노선의 합산 매출 비중은 각각 48%, 35%에 달한다. 노선 감축과 운항 중단이 잇따른 중국·동남아 노선보다 높은 규모다. 최악의 경우 피해가 눈덩이로 커질 수 있다는 의미다.

실제 항공권 예약 취소가 잇따르면서 지난달 26일 이후 국내 항공사의 환불금액은 3000억원에 달했다. 자체적으로 운항을 중단하거나 감편을 결정하면서 취소 수수료를 받지 않아 손실은 더 커졌다.

지난해 새 회계기준 도입으로 그동안 비용으로 인식하던 운용리스를 자산과 부채로 나눠 인식하면서 항공업계 부채비율이 대폭 상승한 점도 불안 요소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으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의 부채비율은 각각 922.5%, 807.6%에 달했다.

부채비율이 높을 경우 신용등급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현재 대한항공(BBB+/안정적)과 아시아나(BBB-/상향검토)의 부채비율은 투자등급의 가장 하단에 위치해 있다.

경영상황이 지속해서 악화하면 투기등급으로 떨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신용등급이 낮아지면 회사채를 통해 자금을 조달할 때 더 높은 금리를 제시해야 해 자금부담이 커진다.

한 대형항공사 관계자는 “국제선 여객의 38%가 줄어든 2003년 사스 때보다 심각한 상황”이라며 “중국 대체 노선을 확보해 여행 수요 확보에 나서려던 전략도 물거품이 됐다”고 토로했다. 이어 “대형항공사를 중심으로 한 업황 붕괴는 산업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저비용항공사의 구조조정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찬수 기자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