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진성오의 심리카페] 피그말리온 효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진성오 당신의마음 연구소장


피그말리온이라는 조각가가 여신(女神) 아프로디테(로마 신화의 비너스)의 조각상 사랑하였다고 한다. 이런 이야기를 로마의 시인 오비디우스가 살을 붙여 만든 이야기다. 피그말리온이 여인상을 조각하고 그 조각한 여인상을 진정으로 사랑하자 아프로디테가 그 여인상을 진짜로 만들어 주었다는 이야기로 바꾸었다고 한다.

피그말리온 효과는 심리학에서는 '어떤 대상에 대해 그렇지 않다고 하여도 진정으로 존중하고, 뭔가를 기대하면 그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피그말리온 효과는 교육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개념이기도 한데 하버드 대학교 사회 심리학 교수인 로젠탈(Rosenthal, Robert)의 이름을 따서 '로젠탈 효과'라고도 하며 심리학적으로 같은 개념으로 '자기 충족적 예언'이라고도 한다.

이는 우리가 기대하는 모습으로 어떤 사람들이 닮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일종의 타인의 기대감에 부응하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보통 타인에 대해서 사용되는 효과이지만 피그말리온 효과는 자기 자신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어떤 행동을 스스로 할 것이라고 믿는 경우에는 실제로 그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예를 들면, 금연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자신이 금연에 성공할 것 같은지에 대해 '예'라고 대답한 사람들 80%가 실제로 금연에 성공한다고 한다. 이를 돌려서 보면 사람은 자신이 생각하는 바로 그 사람이 되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피그말리온 효과를 잘못 오해하면 근거 없는 확신이나 근거 없는 신념만을 주장하다가 모든 것을 잃어버릴 수도 있다. 로또에 당첨되고 싶은 마음에 로또가 당첨될 것이라고 믿고 자신에게 신념을 불어 넣는 것은 자기 충족적 예언이 아니라 자기 충동적 망상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피그말리온 효과는 사람에 대해 적용되는 것이라 볼 수 있는데 이런 효과가 원래 어원처럼 사랑하는 연인 간에 더 효과적이면서 더 자주 관찰된다고도 볼 수 있다. 연인들은 서로가 바라는 모습을 서로의 마음에서 투영하게 되고 이렇게 투영된 모습에 자신들이 맞춰져 간다는 것을 의식적으로는 잘 인식하지 못한다.

다시 말해, 서로가 사랑하는 모습은 상대방이 자신이 보여주고 싶은 모습을 이쪽에서 내적으로 봐주는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니 어떤 면에서는 서로의 허상을 사랑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시작이 허상이라고 하여도 이 허상이 추후에는 진짜 그러한 모습으로도 변화될 수 있는 경우도 있으니 사랑이란 진정 아프로디테 여신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기도일 수도 있을 것이다.

단, 상대가 싫어하는데도 지속적으로 아프로디테 여신에게 사랑이 이뤄지기를 바란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것을 '스토킹을 한다'고 표현한다. 뭐든 지나치면 독이 되는 법이다.

윤휘종 기자 yhj@metroseoul.co.kr

ⓒ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문의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