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SKT, 상용망서 '순수 5G' 통신 성공…상반기 중 본격 제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현재까진 LTE망 혼용하는 NAS모드…SA 제공도 '세계 최초'

뉴스1

SK텔레콤 연구원들이 5G SA 통신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 (SKT제공) ©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일창 기자 = 우리나라가 롱텀에볼루션(LTE) 기술과 혼용해 사용하는 5세대(5G) 이동통신 복합규격'(Non Standalone; NSA)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데 이어 올 상반기에는 순수 5G 통신인 단독규격(SA; Standalone) 표준 적용도 세계 최초로 이뤄낼 전망이다.

SK텔레콤은 국내 최초로 상용망에서 5G SA 데이터 통신에 성공했다고 20일 밝혔다.

현재 상용화된 5G 국제표준은 4G LTE 기지국과 연동해 사용하는 복합규격이다. 이동통신 국제표준화 기구인 3GPP에서는 5G 상용통신 표준으로 NSA와 SA 표준을 모두 제정했으며, 통신사들은 구축이 손쉽고 투자비를 효율화 할 수 있는 NSA 표준부터 순차적으로 적용한 상태다.

하지만 NSA 표준의 경우 LTE 기지국을 공유하기 때문에 당초 'LTE보다 20배 빠르고 1000분의1 수준으로 지연이 적다'는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 5G 기술을 모두 구현하지 못한다. 실제 국내 통신사들이 상용화 한 5G 통신 속도는 1기가비피에스(Gbps) 안팎으로, 100~200메가비피에스(Mbps) 수준인 LTE 통신의 5~10배 정도 속도에 그친다.

5G SA 표준을 적용하면 이론상 LTE보다 20배 빠른 '꿈의 이동통신'이 가능해져 자율주행자동차, 스마트팩토리, 인공지능 원격진료 등 미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번에 SK텔레콤이 적용한 5G SA 기술은 통신 접속 시간이 기존 NSA 기술보다 2배 빠르고 데이터 처리 효율이 약 3배 높다. SK텔레콤은 부산 지역 5G 상용망에서 삼성, 에릭슨 등의 5G 장비를 이용해 '5G SA' 통신을 구현했다. 이 회사는 지난해 9월 국내 최초로 시험망에서 데이터 통신 과정 전체를 5G 상용장비로만 구현한 바 있다.

특히 SK텔레콤은 실제 운용 중인 5G 기지국에서 SA 통신에 성공했다. 이는 별도 기지국 장비를 교체할 필요없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만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5G SA' 통신으로 진화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또 삼성, 에릭슨 등 서로 다른 장비 제조사의 5G 장비로 구성하는 것도 성공했다. 기지국, 교환기 등이 서로 다른 장비 제조사의 제품으로 구성돼도 안정적이고 높은 품질의 5G 통신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

5G 통신의 기술적 특징인 '네트워크 슬라이싱',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데이터 병렬처리' 등의 기술도 모두 적용됐다.

네트워크 슬라이싱은 네트워크를 가상화 기술로 분리해 자율자동차나 원격진료같이 생명과 연계된 '매우 중요하고 핵심적인(미션 크리티컬) 서비스'에 별도의 망을 할당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고도로 안정적인 통신서비스를 제공해 망이 단절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이번 상용망 데이터 통신 성공 결과를 바탕으로 올 상반기 중에 주요 지역의 5G 서비스를 기존 NSA에서 SA로 업그레이드 할 계획이다.

이렇게 될 경우 SA 기반 상용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 최초'의 사례라는 또 하나의 기록을 세우게 된다.

박종관 SK텔레콤 5GX Labs장은 "상용망에서 5G SA 통신에 성공했다는 것은 전체 산업에 혁신과 변화의 기반이 될 진정한 5G 네트워크 상용화가 목전에 있음을 의미한다"며 "SK텔레콤은 고객이 5G 시대를 체감할 수 있도록 최고의 5G 네트워크와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ickim@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