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이슈 불붙는 OTT 시장

넷플릭스 "콘텐츠에 20兆 더"…국내 OTT 지각변동 예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사진=넷플릭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흥순 기자] 세계 최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넷플릭스가 올해에만 20조원을 넘게 투자해 콘텐츠를 더 강화할 예정이다. 디즈니와 애플 등 OTT 플랫폼 경쟁사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지금도 연간 1500개에 달하는 넷플릭스 콘텐츠가 유입되는 우리나라에서도 OTT 사업자간 콘텐츠 경쟁이 훨씬 치열해질 전망이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BMO 캐피털은 17일(현지시간) 넷플릭스가 올해 콘텐츠에 173억 달러(약 20조500억원)를 투자하고 매년 지속해서 투자 액수를 늘려 2028년에는 263억 달러(30조4800억원)를 투자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이는 애플 TV 플러스, 디즈니플러스, 워너미디어의 HBO맥스, 컴캐스트의 피콕 등 넷플릭스와 경쟁하는 스트리밍 주자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우위를 점하기 위한 조치라는 분석도 곁들였다.


◆ 덩치 키우는 '콘텐츠 공룡'= 넷플릭스는 전 세계 190여개국에 진출한 글로벌 OTT 1위 업체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유료 구독자만 1억6000만명에 달한다. 하루에 소비되는 콘텐츠만 1억4000만 시간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콘텐츠 물량공세로 세계 시장을 빠르게 장악했다. 우리나라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영화·비디오물, 공연물, 광고·선전물 등을 심의해 등급분류하는 영상물등급위원회의 최근 4년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넷플릭스가 등급분류를 요청한 국외비디오물은 총 5553건에 달했다. 등급분류는 국내외 영상물이 우리나라에 유통되기 전에 반드시 거쳐야 하는 절차다.


넷플릭스가 국내에 상륙한 2016년 등급분류 된 국외비디오물은 1226건이었다. 업계 관계자는 "케이블 채널이 개국할 때 평균 130개 안팎의 콘텐츠를 확보한다"고 말했다. 이를 토대로 비교할 때 넷플릭스는 국내에 서비스할 때부터 기존 영상 플랫폼보다 약 10배 많은 콘텐츠를 제공한 것이다. 등급분류 국외비디오물은 이듬해 1406개로 200개 가까이 늘었고, 2018년 1427개, 2019년 1494개 등 꾸준히 증가했다. 같은 기간 등급분류된 전체 국외비디오물(11414건)의 48.7%가 넷플릭스 콘텐츠였다. 올해 넷플릭스가 콘텐츠를 강화하는데 20조원을 넘게 투자하는 만큼 전 세계에서 '콘텐츠 공룡'으로서 위상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 국내 OTT에 힘 싣는다는데…= 이 같은 흐름 속에 한국 OTT시장은 지각변동을 예고하고 있다. 넷플릭스의 대항마로 꼽히는 디즈니플러스, 애플TV플러스가 이르면 올해 우리나라에서 서비스를 시작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 때문이다. 넷플릭스, 유튜브 같은 플랫폼의 입지가 탄탄한데다, 추가 사업자의 등장으로 OTT 시장은 가파른 성장이 예상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글로벌 OTT 시장 규모는 2014년 17조원에서 2018년 46조원으로 커졌고, 2023년에는 86조원으로 두 배 가까이 성장할 전망이다.


우리 정부는 국내 OTT 업체들이 넷플릭스, 유튜브 등과의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도록 규제를 완화하고 지원을 늘릴 방침이다. 과기부와 방송통신위원회의 신년 업무계획에 따르면 우선 웹드라마, 웹예능, 숏폼(짧은 시간에 시청할 수 있는 완결성 있는 동영상) 콘텐츠, 1인 미디어 등 OTT 특화 콘텐츠의 제작을 활성화하기 위해 올해 37억원이 지원된다. 방송콘텐츠 분야의 현업인을 대상으로 OTT 교육과정을 신설하고, 교과목을 확대(135 → 145개)하는데도 42억원이 투입된다.


해외사업자의 불법행위도 엄정하게 조사·점검하고, 주요 해외사업자를 이용자 보호업무 평가대상에 포함해 국내외 사업자 간 규제형평성도 맞춰 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국무조정실, 과기부, 기획재정부, 방통위, 금융위원회, 고용노동부, 문화체육관광부, 공정거래위원회 등이 범부처 태스크포스(TF)를 꾸리고,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콘텐츠·플랫폼·네트워크 선순환 생태계 조성 방안(가칭 디지털 미디어 생태계 발전 방안)을 오는 3월까지 수립할 예정이다.



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