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9 (화)

북한의 중대시험 '7분'…무엇을 테스트하고 뭘 떠봤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어제(14일) 북한은 중대한 시험 사실을 발표하면서 오후 10시 41분부터 48분까지 7분간 시험을 했다고 공개를 했습니다. 굳이 이렇게 이야기한 이유가 뭔지 여러 궁금증들을 취재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김태영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김 기자, 일단 북한이 어제 7분간 시험을 했다고 공개한 것 지난 7일이었죠? 지난 시험 사실을 공개했을 때와는 다른 부분이었습니다.

[기자]

네 그렇습니다. 화면을 한 번 보시면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북한이 최근 두 차례에 걸쳐서 국방부와 과학원이 발표한 내용입니다.

앞서 지난 7일 중대한 시험을 했다 그런데 이번엔 굳이 10시 41분부터 48분까지 저렇게 구체적인 내용을 담았습니다.

[앵커]

굳이 공개를 했다면, 북한이 이것을 통해서 무언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가 있다고 봐야겠죠.

[기자]

그렇습니다. 발사체, 즉 로켓의 엔진이 이 정도로 고도화했다, 이런 것을 보여주려 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에도 화면 한번 보시겠는데요.

보시다시피 로켓을 처음에 쏘아 올렸을 때는 1단계 추진체 엔진이 보통 2에서 3분, 아무리 길어도 5분간 연소를 한다고 합니다.

그런 뒤 떠오르고 나면 2단계 추진체 엔진이 중간중간 쏘면서 목표물을 향해서 날아가는데 이때 7분 정도 연소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입니다.

[앵커]

저 그림을 보면서 이해하기로는 그러면 이제 미 본토에 닿을 만큼 보다 효율적인 ICBM 대륙간탄도미사일 개발에 성공했다 그런 뜻으로 이제 7분 시험을 공개했다 이렇게 볼 수가 있겠군요.

[기자]

맞습니다. 전문가 얘기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김동엽/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 엔진이 구동하는 데 있어서 생기는 유효가스를, 다시 한번 엔진을 구동하는 출력에 쓴다는 거죠. 그만큼 효율이 높겠죠.]

[앵커]

그렇군요. 하지만 발사체를 그냥 마냥 멀리 쏠 수 있다고 해서 그게 곧장 ICBM, 대륙간탄도미사일이 되는 건 아니지 않습니까? 저희가 항상 이야기해 왔고 북한이 아직 완성하지 못했다라고 이야기했던 부분이. 또 이 대륙을 넘어서 미사일을 보내려면 고고도로 쏴서 대기권을 넘어갔다가 다시 대기권 안으로 들어오는 이른바 재진입 기

술이 필요한 거잖아요.

[기자]

그렇습니다. 그래서인지 미국 측에서는 북한이 굳이 7분 시험을 강조한 것 자체가 재진입 기술 확보를 내세운 거다 이런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미들베리 국제학연구소 제프리 루이스 소장은 7분은 모터 분사와 연소보다는 RV, 즉 재진입체의 시험처럼 들린다고 말했습니다.

재진입체 기술은 앞서 앵커도 말씀하셨지만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기술 중에서 가장 어려운 기술로도 꼽힙니다.

북한이 이미 2017년 화성-15형을 통해서 엔진의 출력 자체는 ICBM급임을 입증했던 만큼 이번 7분 시험이 그걸 넘어선 의미가 있다면 재진입체 성능을 확인한 것일 수 있다는 게 미국의 일부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앵커]

물론 북한이 밝힌 주장한, 일방적으로 주장한 내용을 바탕으로 판단하는 것이기 때문에 좀 더 지켜봐야 할 문제입니다. 그런데 이제 어젯밤 10시에 북한 총참모총장의 담화가 나왔죠. 그 담화 내용을 보면 지금 이야기한 이런 부분들, 추정들과 또 어느 정도 연관성을 발견할 수 있다고요?

[기자]

인민군 서열 2위인 박정천 총참모장은 어젯밤 담화문에서 미국의 핵 위협을 견제 또 제압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전략무기 개발을 언급을 했습니다.

이러다 보니 북한의 ICBM이 한층 더 고도화된 게 아닌가, 미국 측에서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이와 관련해서 우리 군은 어떻게 평가를 하고 있습니까?

[기자]

일단은 북측에서 엔진 시험을 또 했다고 발표했고요.

또 7분이란 시간을 언급한 만큼 재진입체 기술을 확보했다기보다는 더 강해진 엔진의 연소 시간을 강조한 것으로 보고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러면 이제 오늘 오후 방한한 비건 특별대표 이야기 좀 해 보겠습니다. 비건 대표가 이제 중요한 거는 내일 판문

점에서 여러 일정 중에서 판문점에서 북한 실무자들을 만날 것이냐 하는 부분이잖아요. 어떻습니까, 전망이?

[기자]

현재로서는 만날 가능성은 커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당장 비건 대표는 앞서 리포트에서도 보셨겠지만 입국하면서 말을 아꼈습니다.

또 그보다 앞서서 미국을 떠날 때도 지금은 할 말이 없다라면서 말을 아꼈습니다.

이런 걸 종합해 볼 때 미국 측에서 만나자고 제안했는데 북측에서 아직까지는 아무런 응답도 하지 않은 걸로 보입니다.

[앵커]

현재까지는 사전 조율이 안 돼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판단이 되겠군요.

그런데 북한에서 혹시 만나자라고 응답을 하더라도 앞서 저희 어환희 기자가 이야기했듯이 누가 나오느냐가 또 중요하지 않습니까?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 정도가 나와야지 의미가 있다고 본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비건 대표가 미 의회 청문회 등에서 수차례 자신의 대화 상대로 지목했던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이 나와야만 합니다.

그래야 사실상 격이 맞으면서 실무협상의 테이블이 다시 열리게 되는 셈인데요.

그게 아니라면 결국 북한이 대화 시한으로 못 박았던 연말까지 대화 없이 끝난 게 돼버리고 이렇게 되면 북한이 이른바 크리스마스 선물로 도발을 하고 또 이어서 내년 1월 1일 신년사를 통해서 김정은 위원장이 이른바 새로운 길을 선언하면서 강경노선으로 돌아설 수가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막을 수 있을 것인지가 비건대표의 내일과 모레 이틀간의 행보 그리고 북한의 반응에 달려 있는 겁니다.

[앵커]

한반도 비핵화에 있어서 또 한 번 중요한 한 주의 막이 올랐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잘 들었습니다. 김태영 기자였습니다.

김태영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