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韓배터리 노골적 차별 中, LG·SK에 보조금···삐친게 풀렸나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中, 전기차 보조금 대상 발표



중앙일보

중국 상하이 기가팩토리에서 제조한 중국산 테슬라 모델3.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배터리를 노골적으로 차별하던 중국 정부가 당분간 차별조치를 해제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예정된 제도 변경을 앞두고 이와 같은 조처를 하자 형식적인 조처를 한 것뿐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9일 중국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최근 ‘2019년 제11차 신재생에너지차 보급응용 추천 목록’을 발표했다. 해당 목록에 포함된 신재생에너지차는 중국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중앙일보

중국 정부가 보조금을 지급하는 전기차량 중 한국 기업이 배터리를 공급하는 차종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 추천 목록에 오른 차종은 61개 기업 146개 모델이다. 주목할 부분은 이 중 테슬라모터스가 중국 상하이 기가팩토리에서 생산하는 중형 세단 모델3와 베이징벤츠오토모티브(BBAC)가 생산하는 중형세단 E클래스의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모델이 포함됐다는 점이다. BBAC는 독일 다임러그룹과 중국 베이징자동차그룹이 세운 합작사다.

중앙일보

베이징기차와 독일 다임러그룹의 합작사인 베이징벤츠오토모티브(BBAC). [사진 다임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테슬라 모델3· 벤츠 E클래스에 보조금



중앙일보

SK이노베이션 연구원이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셀을 들어보이고 있다. [사진 SK이노베이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해당 차종이 화제인 이유는 중국에 판매하는 모델3에 들어가는 전기차량용 배터리 일부를 LG화학이 제조하기 때문이다. 또 중국서 판매하는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는 SK이노베이션이 서산공장에서 생산한 배터리셀을 사용한다.

지금까지 중국 정부는 기술력에서 앞서는 한국 배터리 기업(LG화학·SK이노베이션·삼성SDI)이 제조한 배터리를 차별했다. 중국 공업신식화부가 2016년 12월부터 한국산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에 보조금 지급을 중단했다. 자국 기업을 보호하기 위해서다. 중국 시판 전기차 가격에서 보조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반가량이다. 보조금을 못 받은 전기차는 소비자 가격이 너무 비싸서 사실상 전기차를 팔 수 없는 구조다.

중앙일보

LG화학의 전기차용 배터리. [사진 LG화학]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LG화학·SK이노, 공정 경쟁 가능



중앙일보

일본 파나소닉을 위협하는 중국 최대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CATL. [CATL 홈페이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한국 기업이 중국 전기차 시장에서 배터리를 공급하지 못하는 동안 중국 배터리 기업의 경쟁력이 어느 정도 상승했다고 판단한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중국 최대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컨템포러리암페렉스테크놀로지(CATL)가 생산하는 배터리는 15분 충전에 300㎞ 주행이 가능하고, 15년 동안 1만5000번을 충전할 수 있을 정도로 내구성이 향상했다.

중국 정부의 태도 변화는 중국 내수 자동차 시장이 급격히 위축한 상황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중국 내 전기차용 배터리 판매량은 7월부터 10월까지 3개월 연속 감소했다.

이와 같은 중국 정부의 조치를 두고 엇갈리는 평가가 나온다. 일각에선 중국 정부의 경제 보복이 사실상 해제했다고 평가한다. 한국 정부가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를 한반도에 배치한 이후 시작된 중국 정부의 경제 보복이 드디어 풀렸다는 것이다. 중국 정부가 모델3·E클래스에 보조금을 지급할 경우, 3년 만에 처음으로 한국산 배터리를 채택한 차량에 보조금을 지급하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가 보조금 지급을 재개하면서 국내 배터리 제조사도 중국 시장 공략을 재시작할 수 있을 전망이다. 중국 자동차 전문지 가스구(Gasgoo)는 “한국산 배터리셀을 장착한 차량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상황은 상징하는 바가 크다”며 “중국이 전기차 배터리 시장을 해외 기업에 전면 개방했다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중앙일보

테슬라모터스의 중형 세단 모델3. [사진 테슬라코리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반면 이번 조치가 상징성은 있지만 국내 기업에게 실효성은 크지 않은 상징적인 조치에 불과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오는 2021년이면 중국 정부가 중국서 운행하는 신재생에너지차에 지급하던 보조금 제도를 전면 폐지하기 때문이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과 교수는 “그간 중국 정부는 자국 배터리업체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노골적으로 한국 기업을 차별했다”며 “향후 한국산 배터리를 장착한 차량이 보조금을 받더라도 중국 정부가 보조금 제도를 완전히 폐지하면, 한국 배터리 기업이 실질적으로 누리는 혜택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희철·임성빈 기자 reporter@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