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소·부·장 기초·원천기술, 산학연 융합으로 조기 확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 [과기정통부, ‘제2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 개최 ]

머니투데이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자료사진=과기정통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소재·부품·장비 분야 자립화 기반 조기 구축을 위한 전략을 내놨다. 반도체·디스플레이 관련 소재·부품의 중점요소기술을 개발하고, 미래소재·부품 확보, 첨단연구·검사장비를 구축하는 한편, 대학 중심 기초연구실 및 신물성 발견 연구단 확대 등이 핵심사업으로 추진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소재·부품·장비 분야 기초·원천R&D(연·구개발) 실행계획’을 20일 경기도 안산에 위치한 율촌화학 기술연구소에서 열린 ‘제2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에서 심의·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선 ‘산학연 융합을 통한 소재·부품·장비 기초·원천기술 조기 확보방안(과기정통부)’과 ‘소재부품장비 기술 조기 자립화 촉진을 위한 IP(지적재산권) R&D 강화방안(특허청)’ 등이 다뤄졌다.

특히 ‘산학연 융합을 통한 소재·부품·장비 기초·원천기술 조기 확보방안’을 살펴보면 우선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 주력산업 분야에서 경쟁력 확보가 시급한 전략 소재·부품의 ‘중점요소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중장기 관점에서 신산업·시장 창출을 위한 미래소재·부품, 첨단연구·검사장비, 측정·분석기술 등에 선제적으로 투자한다.

대학 중심의 기초연구실을 40여개를 신규 지정하고, 신물성 발견 연구단을 올해 25개에서 내년 28개로 확대하는 한편, 후속연구 지원 및 초기 실증 등을 통해 원천기술의 완성도를 제고하기로 했다.

또 소재·공정·시스템 패키지형 기술개발 등 ‘기초·원천→응용·개발’ 연계를 위한 원천기술기반형 응용연구 투자도 늘리기로 했다.

아울러 R&D 지원 유형을 도전형(창의적 연구주제), 경쟁형(복수연구단 경쟁), 플랫폼형(기술개발·인프라 보유 기관 정책지정) 등으로 다변화하고, 과기정통부 기초원천 연구사업을 산업부의 응용·상용화사업으로 이어가는 ‘부처 간 이어달리기 전용트랙’을 신설함과 동시에 예비타당성조사 공동 추진 등 ‘공동 기획·추진 함께달리기’ R&D 등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밖에 나노팹, 방사광가속기 등 첨단연구시설과 연구개발특구 활용 등을 지원하고, 카이스트(KAIST) 등 4대 과기원 및 25개 과학기술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이 보유한 연구인력 및 인프라의 기업 지원 기능도 강화할 계획이다.

류준영 기자 joon@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