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문재인 팬 미팅" vs "진솔한 소통" 文 국민과의 대화, 당신의 생각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야당, 文 '국민과의 대화' 일제히 혹평

아시아경제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오후 서울 상암동 MBC에서 '국민이 묻는다, 2019 국민과의 대화'를 마친 뒤 국민 패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한승곤 기자] 19일 문재인 대통령의 '국민과의 대화'에 대해 여야는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등 야당은 '홍보쇼' 등의 원색적인 표현까지 써가며 "대통령의 일방적 입장 전달"이라고 평가절하했다.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국민들의 목소리가 대통령뿐 아니라 정부, 국회, 전 국민에게 울려 퍼진 매우 뜻깊은 시간이었을 것"이라고 논평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비판에 대해선 겸허하게 받아들였으며, 미처 우리 정부가 챙기지 못한 문제에 대해서는 기억하고 해결할 것을 약속했다"며 "문 대통령이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목소리를 잘 경청하고 국정 운영에 반영해줄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오늘 나온 국민들의 목소리를 가장 따갑게 들어야 하는 곳은 국회임을 확인하는 시간이기도 했다"며 "국민들이 '왜 해결되지 않는지' 아프게 묻는 질문의 답이 국회에 잠들어 있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야당은 혹평을 쏟아냈다. 김명연 한국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국민과의 대화'가 끝난 뒤 낸 논평에서 "청와대가 준비한 내용만 일방적으로 전달한 쇼에 불과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민 300명을 모셔놓고는 20여 명의 질문만을 받았고, 그 대답마저 특정 질문에 대해서만 장황한 대통령의 입장을 듣는 데 할애됐다"며 "대다수 국민의 궁금증과 목소리를 전달하기에 턱없이 부족했다"고 평가했다. 또 "그동안 대통령이 반복해왔던 메시지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다"고 지적했다.

아시아경제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오후 서울 상암동 MBC에서 '국민이 묻는다, 2019 국민과의 대화' 종료 후 시간 관계상 받지 못한 질문지를 전달받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 수석대변인은 "특히 공수처(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와 검찰 개혁, 그리고 허황된 남북 평화에 대한 유달리 긴 대통령의 발언은 국민과의 대화라는 형식을 통해 '공수처 홍보쇼', '남북관계 평화 강요쇼'를 보는 것과 같았다"고도 했다.


바른미래당 역시 혹평을 쏟아냈다. 김정화 바른미래당 대변인은 "통상적인 질문, 듣기 좋은 대답, 원론적인 얘기, 자화자찬에 남 탓"이라고 평가절하했다.


김 대변인은 “알맹이는 빠진 ‘대통령 홍보 방송’이 그저 개탄스러울 뿐"이라며 "'농담' '무질서함' '개인적 이야기'로 정작 중요한 의제에 대한 깊이 있는 대화는 찾을 수 없는 시간 낭비, 전파 낭비"라고 지적했다.


또 "임기 절반을 독선과 아집으로 채워놓고 지금껏 잘해왔고, 앞으로 잘할 것이라는 대통령의 망상적 태도는 국민의 화병을 유발하는 '민심 뒤통수권자'가 되기로 한 모양"이라고 꼬집었다.


김종대 정의당 수석대변인은 "우리 사회의 불평등 해소, 한반도 주변 정세를 주도하는 평화 기획, 청년에게 기회를 주는 담대한 정책, 중소 상공인 등 우리 사회의 핵심 과제가 '주마간산' 식으로 지나간 점이 아쉽다"고 평가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소통이라는 명분, 각본 없는 대화 형식에 얽매이다 보니 후반기 국정운영 방향을 파악하는 데 부족함이 많았다"며 "대통령의 국정 철학과 의지가 선명하게 국민에게 전달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최경환 대안신당 수석대변인은 "민생경제의 위기, 앞이 안 보이는 한반도 정세를 뚫고 나갈 대통령 리더십을 보여주지 못했다"며 "경제난 인식은 실망스럽고 대책 제시에는 미흡했다"고 혹평했다.



한승곤 기자 hs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