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한글 나눔 1호 부톤섬 새댁 “찌아찌아족 한글교육 앞장서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뜨리·강민구씨 부부 "한글만 배워도 다들 우쭐"

한글 채택 10년, '한글거리' 생기고 한류 바람

뜨리 부부 "한국인 교사 부족, 교재 지원 필요"

중앙일보

인도네시아 바우바우시 출신 뜨리(오른쪽)와 남편 강민구씨는 지난해 9월 결혼했다. 뜨리는 찌아찌아족이 거주하는 마을 학교에 보조교사로 일하며 한글을 가르치고 있다. 최종권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잊혀 가는 부톤 왕국의 역사를 한글로 기록하고 싶어요.”

인도네시아 부톤섬 바우바우시에 사는 뜨리(26)는 한글 전도사다. 부톤섬 소수 민족인 찌아찌아족이 한글을 부족어로 채택한 2010년 현지 교사로 파견된 정덕영(58)씨에게 처음 한글을 배웠다. 대학교 4학년 때인 2016년 정씨의 한글 교실 자원봉사를 자처해 한국어도 익혔다. 지금은 보조교사로 바우바우시의 아이들에게 한글을 가르치고 있다.

찌아찌아족은 우리나라의 ‘한글 나눔 1호’ 사례로 꼽힌다. 이들이 사는 부톤섬은 인구 50만여 명 가운데 찌아찌아족이 7만여 명을 차지한다. 찌아찌아족은 바우바우시의 소라올리오 마을, 바따우가군, 빠사르와조군에 모여 살고 있다.

이들은 독자적 언어가 있지만, 표기법이 없어 고유어를 잃을 처지에 놓였었다. 바우바우시는 2009년 훈민정음학회의 건의를 받아들여 찌아찌아어를 한글로 표기하는 방안을 채택했다.

중앙일보

뜨리가 인도네시아 바우바우시의 한 학교에서 한글을 가르치고 있다. [사진 강민구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글이 보급된 바우바우시에도 한류가 불고 있다. 한글을 배운 학생들 사이에서 방탄소년단이나 그룹 엑소 등 우리나라 연예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 영화를 동시 상영하고 ‘깜뿡 꼬리아’라는 한글 거리도 생겼다. 일부 도로에는 한글 표지판도 생겼다.

뜨리는 “한글을 배운 현지인들 사이에선 다른 사람이 접할 수 없는 정보나 지식을 습득할 수 있어 우쭐해 하는 분위기가 있다”며 “방탄소년단 같은 아이돌이나 한국 영화 등을 통해 한류를 접하고 싶은 아이들이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뜨리는 언어에 호기심이 많은 소녀였다고 한다. 고교 2학년인 2010년, 한 달간 정덕영씨에게서 한글 강의를 듣고 대학에선 영어영문학을 전공했다. 뜨리는 “한글의 자음·모음을 익히고 발음을 연습하고 읽는 데까지 일주일 정도 걸렸다”며 “혼자 공부를 하다 막히면 정덕영 선생님께 메일을 보내거나 인터넷으로 궁금한 점을 풀었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그는 대학 4학년 때 자원봉사를 위해 다시 한글 교실을 찾으면서 획을 긋는 순서와 한국말까지 배우게 됐다. 뜨리의 한국어 실력은 유창한 수준이다. 현재는 바우바우시 학교 3곳과 보육원에서 정씨를 도와 보조교사로 일하고 있다.

중앙일보

지난달 9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573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이낙연 국무총리와 뜨리가 참석자들과 함께 만세삼창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뜨리는 지난해 9월 한국찌아찌아문화교류협회 홍보국장인 강민구(40)씨와 결혼했다. 한글 나눔에 관심이 많았던 강씨가 바우바우시를 자주 오가면서 인연이 됐다. 임신 5개월째인 뜨리는 지난달 20일 치러진 한국어능력시험에 응시하기 위해 남편과 함께 입국했다. 한글날 경축식에 초청받아 이낙연 국무총리 옆에서 함께 만세삼창을 외치기도 했다.

뜨리는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는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을 기리는 행사에 참석하게 돼 뜻깊었다”고 말했다. 이들 부부는 이달 말 다시 바우바우시로 돌아갈 계획이다.

현재 찌아찌아족 한글학교의 한국인 교사는 정덕영씨 혼자뿐이다. 한국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이 장기간 끊기면서 한글 교육 시간을 늘리거나 교재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때문에 한글을 배우고 싶은 학생들이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 수업을 듣고 다시 반납하는 형편이다.

강씨는 “한국찌아찌아문화교류협회를 통해 소액기부금 후원을 받아 최소한의 체류비 정도를 지원하는 상황”이라며 “한국인 교사를 추가 파견하거나 교재 보급을 늘린다면 바우바우시에 한글이 빨리 확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인도네시아 바우바우시에 현지 청년들이 조성한 깜뿡 꼬리아는 우리나라 말로 한글마당 또는 한글거리로 불린다. [사진 강민구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청주=최종권 기자 choigo@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