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9 (화)

이슈 고용위기와 한국경제

두달 연속 취업자 30만명 넘게 늘었지만…40대·제조업은 찬바람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달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 외환위기 이후 최대폭 감소

(세종=연합뉴스) 이 율 이대희 기자 = 취업자, 고용률, 실업률 등 3대 고용지표가 두 달 연속 큰 폭으로 개선되면서 고용시장의 본격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서비스업과 상용직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두 달 연속 30만명 넘게 늘어나고, 고용률은 9월 기준으로 23년 만에 최고를 기록하자 정부는 고용시장이 양적 질적 측면에서 뚜렷한 회복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취업자 증가가 60대 이상과 36시간 미만에 집중되고, 우리 경제의 허리 격인 제조업과 40대 취업자는 감소세를 이어가는 것은 우려되는 부분이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가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말 이후 최대폭 줄어든 점도 걱정스러운 대목으로 꼽힌다.

경제전문가들은 고용의 양적 개선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질적 개선에 대해서는 의구심을 나타냈다.

연합뉴스

'어디가 좋을까'
(서울=연합뉴스) 이지은 기자 = 10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19 물류산업 청년 채용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2019.9.10 jieunlee@yna.co.kr



◇ 취업자 증가폭 두 달 연속 30만명 상회…제조업·서비스업 양극화

16일 통계청이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증가세(34만8천명)는 서비스업과 상용직에서 두드러졌다.

지난달 서비스업 취업자는 43만5천명 늘어 8월(39만9천명)보다 증가 폭을 확대했다.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7만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8만3천명), 숙박 및 음식점업(7만9천명) 등에서 많이 늘었다.

서비스업 취업자 증가가 상용직에 집중되면서 상용직도 54만1천명 늘어 전달(49만3천명)보다 증가 폭을 키웠다. 증가 폭은 5년 5개월 만에 최대폭이다.

반면에, 수출과 투자 부진에 제조업 취업자는 감소 폭을 확대했다.

제조업 취업자는 11만1천명 줄어 감소 폭이 전달(-2만4천명)의 4.6배에 달했다.

제조업 취업자 감소세는 18개월째 이어졌다.

반도체를 포함한 전자부품·전기장비의 업황이 아직 개선되지 않은데 따른 것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지난달 취업자 증가세는 60세 이상(38만명), 50대(11만9천명), 25∼29세(8만명)에 집중됐다.

반면에, 30대(-1만3천명)와 40대(-17만9천명) 취업자는 줄어들었다.

40대는 고용률도 78.3%로 0.9%포인트 하락했다. 40대 취업자는 2015년 11월 감소세로 돌아선 뒤 47개월째 줄고 있다.

단시간 취업자가 많이 늘어난 것도 우려되는 지점이다.

취업 시간대가 36시간 미만인 취업자는 73만7천명 늘어난 반면,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45만2천명 줄어들었다.

1∼17시간 취업자는 37만1천명, 18∼35시간 취업자는 36만6천명 각각 늘었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1∼17시간 취업자가 늘어난 것은 60대 이상 재정 일자리가 전년보다 10만개 순증한 데 따른 영향"이라며 "청년층이 숙박음식점업에 유입돼 단시간 아르바이트를 하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고용의 질 개선의 근거로 삼았던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가 지난달 16만6천명 줄어 외환위기가 한창이었던 1998년 12월(-28만1천명) 이후 최대폭 감소한 것도 우려된다. 이는 도소매업 업황 부진에 기인한다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 정부 "양적 질적 개선흐름" vs 전문가 "질적 개선 미흡"

연합뉴스

인사말 하는 김용범 차관
(서울=연합뉴스) 정하종 기자 = 16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 회의에서 기획재정부 김용범 제1차관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19.10.16 chc@yna.co.kr



정부는 최근 고용지표 호조에 대해 고용이 양적, 질적으로 개선 흐름이 뚜렷하다고 평가했지만, 경제전문가들은 질적 개선은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이날 거시경제금융회의 모두발언에서 "고용이 양과 질적인 측면에서 모두 개선 흐름을 보이나, 대내외 환경의 불확실성은 상존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8월에 이어 9월에도 취업자 수, 고용률, 실업률 등 3대 고용지표가 모두 크게 개선되며 고용시장의 뚜렷한 회복 흐름이 계속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차관은 이후 기자들과 만나 "고용시장의 회복흐름은 기저효과와 고용유발계수가 높은 서비스업에서의 일자리 증가, 정부의 정책일자리에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반면에, 경제전문가들은 고용시장의 양적 개선은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질적 개선에 대해서는 의구심을 나타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정부의 정책 일자리 덕에 취업자 증가세는 이어졌지만, 핵심 경제활동인구인 30∼40대 취업자가 줄어든 것은 문제"라면서 "일자리 증가세도 제조업보다는 서비스업에 집중됐기 때문에 고용의 질적 개선에는 동의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정부의 재정정책으로 어쨌든 일자리가 늘어나고 있는 것 자체는 긍정적"이라며 "60대 고령층에서 일자리가 많이 늘어나는 점도 노후소득을 보완하며 복지 지출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했다.

그는 "그러나 질적 개선 흐름도 이어지고 있다는 정부의 주장에는 동의할 수 없다"면서 "기업의 투자가 늘어나면서 증가하는 안정적인 일자리, 특히 제조업 분야에서 더 많은 일자리가 생기도록 정부가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yulsid@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