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명절에 재미 삼아 하는 화투, ‘일본놀이’냐 ‘한국놀이’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예전보다는 덜하지만 추석 등 명절에 가족끼리 재미삼아 하는 놀이 중 하나가 ‘화투’(花鬪)다. 화투를 주요 소재로 한 영화가 시리즈로 만들어져 추석 즈음에 개봉해 인기를 얻을 만큼 대중에게 화투는 친숙하다. 하지만 일본에서 유래했다는 이유로 논란이 되기도 한다. 최근에도 가파른 한·일 대치 국면에서 일본제품 불매운동과 맞물려 추석 때 화투 놀이를 하지 말자는 주장이 일각에서 나온다.

세계일보

12가지 그림이 그려진 패로 끗수를 겨루는 놀이인 화투. 사진은 ‘활표’ 화투로, 테두리와 뒷면은 붉은색이다. 제품명이 인쇄된 종이 상자에 들어 있으며, 상자의 한쪽 측면에 ‘가짜주의’ 안내문이 인쇄돼 있다.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화투, 일본을 통해 한국에 들어왔지만 기원은 포르투갈?

화투는 12종류 48장으로 돼 있는 놀이딱지의 일종이다. 열두 달을 상징하는 화초 그림 딱지를 가지고 놀아서 ‘꽃 화’(花)와 ‘싸울 투’(鬪)가 합쳐져 ‘화투’라고 불린다. 화초 그림이 일본식으로 그려져 있고, 놀이 방식이나 명칭 등이 일본과 연관된 것이 많기 때문에 흔히 일본에서 온 놀이라고 여겨진다.

일부는 맞고 일부는 틀렸다고 한다. 국립민속박물관 정연학 학예연구관은 10일 “화투는 일본에서 온 것이 맞지만, 그 이전에 포르투갈에서 일본어 전파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화투는 일본의 하나후다(花札·はなふだ)가 한국에 넘어와 현지화된 것이다. 시기는 19세기 말로, 대마도의 일본 상인들이 항구를 통해 조선에 퍼뜨렸다는 설이 유력하다고 했다.

세계일보

일본식 화투인 하나후다. 12가지 그림이 그려진 패로, 끗수를 겨루는 놀이다. 12가지 그림이 4장씩 48장, 백지 딱지 1장으로 총 49장이 한 조를 이루고 있다.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하지만 이 하나후다 또한 외국에서 일본으로 전해진 놀이다. 바로 서양식 카드놀이인 ‘트럼프’(Trump)다. 16세기 후반 일본이 포르투갈과 무역을 시작한 시절, 포르투갈 선교사를 통해 전해지게 됐으며, ‘텐쇼 가루타’(天正 カルタ)로 불리게 된다. ‘가루타’는 ‘카드’를 뜻하는 포르투갈어 ‘카르타’(Carta)에서 유래했다. 이 ‘텐쇼 가루타’가 변형된 것이 ‘하나후다’이며, ‘하나후다’가 변형된 것이 ‘화투’라는 설명이다.

또한 공교롭게도 하나후다와 화투는 공통점이 있다. 원형이 됐던 놀이가 자국에서 금지됐던 놀이라는 점이다. 포르투갈은 16세기 트럼프를 금지했었다. 트럼프를 이용한 도박이 정도를 넘어섰기 때문이다. 일본도 도박성 문제로 1791년 에도 막부에서 텐쇼 가루타의 금지령을 내렸다. 즉 하나후다의 원형이 트럼프, 화투의 원형인 텐쇼 가루타가 자국에서 할 수 없었던 놀이였던 것이다.

◆화투는 한국 놀이?…“문화에 기원 따지지 말아야”

세계일보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화투.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그렇다면 화투는 일본이 아니고 포르투갈에서 온 것이까? 정 연구관은 “놀이에 출처를 따지는 것은 무의미하다”며 이렇게 말했다. “화투가 일본의 영향을 받은 건 맞지만, 문화는 ‘문화’ 자체로 봐야 합니다. 기원이 어딘지로 국산이냐, 외국산이냐를 따지면 ‘한국’만의 문화라고 정의 내릴 수 있는 문화와 놀이는 찾기 힘듭니다. 그런 것을 따지지 말고, 화투는 그냥 ‘현재 사람들이 즐기는 대중 놀이이자 문화’로 봐야 합니다.”

그는 화투에 대해 “기원이 어디든지 한국에 도착해 한국 사람들이 즐기면 한국 문화”라고 강조했다. 예컨대 ‘노래방’의 경우, 일본 ‘가라오케’(カラオケ)에서 시작됐지만 그 누구도 일본 문화이기 때문에 즐기지 말아야 한다는 주장을 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심지어 중국 등 아시아를 비롯해 전 세계에 노래방이 세워지면서 오히려 한국 문화라는 인식이 많다고 강조했다.

또한 화투는 1950년대를 기점으로 한국 현지화가 됐기 때문에 출처를 따지는 것은 더욱 의미가 없다고 했다. 정 연구관에 따르면 화투와 하나후다는 많은 차이를 보인다. 하나후다는 종이로 만들어지며, 적·흑·녹·황·자색의 5색을 사용한다. 또한 ‘광’(光)과 ‘청단’이라는 글자가 없다. 반면 화투는 플라스틱으로 만들며, 적·흑·황·청색의 4색을 사용한다. 비광의 모습이 하나후다에서는 일본식 의상이나, 화투에서는 중국식 의상이다.

정 연구관은 “화투는 1950년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면서 종이로 만들어진 이전보다 더욱 많이 즐기는 대중 놀이가 됐다”며 “반면 종이를 고집하는 일본은 정월 등에만 한정해서 하는 놀이로, 하나후다를 즐기는 일본인은 매우 드물다”고 설명했다. “심지어 화투가 일본에 넘어가 하나후다 대신에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복진 기자 bok@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