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8 (목)

지긋지긋한 나의 지방덩어리, '태우는 원리' 밝혀졌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대·연세대 연구팀, 바이페린 단백질과 대사질환 관련성 규명

당뇨·비만 치료제 개발에도 호재될 듯

뉴스1

바이페린 단백질은 지방조직의 지방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지방산 산화과정을 제어함으로써 열발생을 조절하여 대사표현형에 영향을 준다.(서울대 제공)©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최소망 기자 = 내 몸에 불필요하게 쌓이는 지방덩어리를 '태워 없애는' 원리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규명됐다. 지방세포의 에너지 소모 기작 원리가 밝혀진 것인데, 이번 연구결과는 당뇨나 비만 등과 같은 대사질환 치료제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전망이다.

서울대학교는 성제경 수의과대학 교수가 서준영 연세대 교수·피터 크레스웰 예일대 교수와 공동연구를 통해 '바이페린'(Viperin) 단백질이 지방세포의 에너지 소비를 조절하는 기작을 규명했다고 23일 밝혔다.

서구화된 식습관의 증가로 비만, 고혈압, 당뇨병 등 대사질환의 발병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대사질환에는 지방세포의 에너지 소비 조절이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으나 정확한 기작은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연구팀은 바이페린 단백질이 지방세포에서 '지방산 산화' 과정을 저해해 에너지 소비 조절에 관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연구팀은 바이페린 단백질이 백색, 갈색지방을 포함한 여러 조직에서 발현했고 바이페린 유전자가 제거된 마우스의 체중과 지방조직이 정상 마우스에 비해 현저하게 줄었음을 확인했다. 또 바이페린이 없는 마우스는 지방조직에서의 열발생이 활성화되면서 에너지가 소비돼 지방조직의 크기가 줄고 내당력이나 지방간 관은 대사질환이 개선됐다.

성제경 교수는 "유전자변형마우스 모델을 활용해 질환 관련 유전자의 생체 내 기능을 밝히는 연구를 통해 새로운 비만과 당뇨병 치료제의 발전 가능성을 열게 된 연구"라고 말했다.

서준영 교수는 "대사질환의 새로운 연구 방향과 치료제 개발에 공헌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면서 "바이페린 단백질의 선천면역 기능을 고려할 때 에볼라·황열 바이러스와 같은 고열을 유발하는 병원균 감염에 대한 인체 방어 전략의 새로운 개념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PNAS' 최신호 온라인판에 실렸다.
somangchoi@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