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이슈 강제징용 피해자와 소송

[이슈플러스] 헌재 앞 7년 방치된 '사할린 징용' 동포들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앞서 전해드린 조국 민정수석의 페이스북 글 내용 중에는 일본에 대한 개인 배상 청구권이 살아있다는 2005년 민관공동위원회의 결론도 있습니다. 당시 '청구권이 살아있다'고 했던 세 건 중 하나가 바로 '사할린 동포' 문제입니다. 역시 강제로 끌려갔지만, 제대로 임금도 못 받고 전쟁이 끝난 뒤에도 50년 동안 잊혀져 있었습니다.

어디에 배상을 호소하기도 힘든 이들의 사연을, 강현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경기도 안산의 한 아파트 단지.

자동차를 보기 힘들고, 아이들 소리도 들리지 않습니다.

일제 강점기 시절 사할린에 끌려간 이들이 2000년부터 정착한 '고향마을'입니다.

바로 몇십미터 옆 동네에는 사람들로 활기가 가득하지만, 이곳 고향마을에는 고요함만 남아 있습니다.

기초생활자가 대부분이고 가장 젊은 주민이 1945년생, 우리 나이로 75살입니다.

[양윤희 : 503명 돌아가셨어요. 20년 동안. (올해만) 17명. (매년) 평균 한 30명 돌아가십니다.]

사할린의 일본인들은 전쟁 뒤 돌아갔지만 이들은 방치됐습니다.

[권경석 : 조선인들은 안 데려갔지요. 거기서(항구도시 코르사코프) 하염없이 기다리다가…]

[최광호 : (일본인이 버린) 빈집이…아무 집이나 들어가서 먹을 것 있으면 끓여 먹고, 그대로 잠자고. 혹시나 귀국할 수 있겠지 하고 기다리고 있었지.]

우편예금이나 보험 등으로 받아야 할 임금도 받지 못했습니다.

일본 우정성이 2000년 파악한 미지급금은 당시 액면가 2억 5000만 엔.

지금 가치로는 가늠조차 안 됩니다.

약 4만 3000명의 사할린 동포 중 3000명 정도가 2000년부터 고향으로 돌아왔습니다.

이들은 지난 2012년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을 냈습니다.

못 받은 임금 등을 일본에 청구하는 일에 국가가 나서주기를 바랐지만 그러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7년이 지난 지금까지 감감무소식입니다.

[경수근/청구인 측 변호사 : 저희로서는 길어도 한 2~3년 정도로 예상했지, 이 정도까지 7년 이상 걸릴 줄은 전혀 몰랐습니다.]

우리 정부도 이 문제에 소극적입니다.

외교부는 올 1월 낸 의견서에서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 당시 이들은 무국적이라 협정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다시 못박았습니다.

즉 청구권 협정을 문제 삼을 자격이 없다는 것입니다.

지난해 대법원이 '개인 청구권이 살아있다'며 강제징용 판결을 확정하자, 헌재도 올해 초 결론을 내려 했습니다.

하지만 한·일관계가 나빠진 점을 고려해 선고를 미뤘다는 이야기도 들립니다.

어느 쪽에서도 관심을 받지 못하는 동안 고령의 사할린 동포들은 하나 둘 세상을 떠나고 있습니다.

강현석, 홍승재, 이경, 김진광, 김영선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