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소재산업 脫일본 하려면, 출연연 기능 강화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출연연이 대학과 기업 연계 플랫폼 역할 해야....중장기 집중투자도 필요해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구채은 기자] 일본의 수출규제 파고를 헤쳐나가기 위해서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이 구심점이이 되어 독자적인 소재기술 개발에 나서야 한다는 진단이 나왔다. 정부 출연연이 대학의 기초소재기술과 기업의 상용화 기술을 연계하는 '플랫폼' 역할을 하면서 장기적으로 소재산업에 집중투자 해야 한다는 것이다.


19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열린 '일본 수출규제 진단과 대응 세미나'에 발제자로 나선 강성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장은 "소재 부품 관련 정부 출연연구기관들을 중심으로 중장기적 원천소재기술 연구에 역량을 모아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강 소장은 "소재산업은 완제품으로 가기 전에 가장 핵심이고, 부품산업을 떠받쳐주는 것이기 때문에 언제든지 전량 (외교) 무기가 될 수 있다"면서 "지금의 소재 강대국들은 이러한 점을 일찍 간파하고 소재산업을 육성해 왔다"고 강조했다. 강 소장은 "산(産), 학(學), 연(硏), 관(官) 모두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봤다.


강 소장은 시장 경쟁력이 부족한 소재들은 정부의 R&D 예비타당성 면제를 통해 지원을 하는 방식을 제안했다. 예컨대 불화수소의 경우 소수기업이 세계시장을 독점하고 있어 불화수소 순도를 반도체에 적합한 99.999%로 올리기 위한 신공정을 개발하는 것은 경제적 타당성 확보가 어렵다. 그는 “기존 산업에 활용되고 있는 소재를 대체하는 신소재 개발은 기존산업의 공급사슬을 해체할 수 있어 민간기업에서 선제적 투자를 꺼려하기 때문에 국가주도로 출연연 중심의 투자가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 재료연, 생기원, 화학연, ETRI, 에기연 등 소재연구기관협의회에 참여한 출연연들의 축적된 보유기술을 활용한 융합연구로 효율적 소재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4차산업혁명 대비 융합신소재를 키워야 한다고도 짚었다. 화학바이오 분자검출소재, 사물인터넷(IoT)용 복합소재, 의료용 경사기능 소재, 에너지 생산, 저장 복합소재, 3D프린팅 소재공정 등이 그 예다. 강 소장은 "소재 산업은 부품 완제품 산업의 후방에서 자동차, ICT, 에너지, 환경, 반도체 등 국가산업의 선능과 품질 가격경쟁력을 결정한다"면서 "4차산업혁명 대비 융합신소재 육성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 1965년부터 현재까지 40년 동안 누적된 대일 무역적자 2150억 달러 중 부품소재 수입이 주된 적자 요인으로 지난 10년간 부품소재 대일적자 누계는 102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