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文대통령 ‘투톱 외교’ 강조… '지일파' 李총리 역할 커진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서남亞 순방외교 비판 엄호
-韓·日 갈등 국면서 역할론도 대두
-대일특사 파견 관해선 일단 신중


파이낸셜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6일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이날 문 대통령은 이낙연 국무총리가 해외 순방 중임을 언급, '대통령과 총리가 적절히 역할을 분담해 정상급 외교무대에서 함께 뛸 필요가 있다'며 '우리의 국무총리도 정상급 외교를 할 수 있는 위상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사진=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국무총리와의 '투톱 외교'를 강조하며 이낙연 총리 '힘 실어주기'에 나섰다. 표면적으로는 이 총리의 중앙·서남아시아 4개국 순방에 대한 비판과 관련해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이라지만 일본의 대한(對韓) 수출규제 조치 국면에서 '일본통'인 이 총리의 역할론을 부각시키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문 대통령은 16일 청와대 세종실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갈수록 경제외교가 중요해지고, 평화외교가 중요해지는 시대가 되었다"며 "정상외교의 수요가 폭증하면서 대통령 혼자서는 다 감당하기가 어려워졌다. 대통령과 총리가 적절히 역할을 분담해 정상급 외교무대에서 함께 뛸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총리의 이번 순방에 대해서도 "대부분 제가 미처 방문하지 못했거나 당분간 방문하기 어려운 나라들로서 실질 협력의 필요가 매우 큰 나라들"이라며 "총리의 순방외교를 투톱 외교라는 적극적인 관점으로 봐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해외 사례도 들며 총리의 '정상외교' 필요성을 피력했다.

문 대통령은 "대부분의 나라들은 정상외교를 투톱 체제로 분담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대통령제이지만 독특하게 국무총리를 두고 있고, 헌법상 국무총리에게 행정 각부를 통할하는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의 국무총리도 정상급 외교를 할 수 있는 위상을 가지고 있다"고 부연했다.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로 인한 비상상황에서 총리가 자리를 비우는 것에 대한 비판에 대해 '엄호'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도 "투톱 외교가 나온 배경은 국무회의에 총리가 자리하지 않고 있다는 점, 한·일 무역갈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총리가 해외순방을 가고 있다는 것에 대한 비판 섞인 보도들이 나오는 만큼 이에 대한 설명이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일본과의 갈등이 악화일로인 엄중한 시기에 이 총리를 언급한 것은 '역할론'을 강조하기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이 총리는 대표적인 '지일파'로 알려져 있다. 기자 시절 도쿄특파원을 지냈고, 국회의원을 하면서도 오랜 기간 한일의원연맹에서 활동했다. 일본측 인사와 통역 없이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누는 데 문제가 없을 정도로 일본어에도 능통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에서도 이 총리의 역할론이 제기되고 있다.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은 전날 한 라디오방송에서 "근본적으로 강경하게 협상을 위해서 공격도 할 수 있지만 테이블 밑에서는 활발하게 대화하는데 이게 없다"며 "이낙연 총리는 대표적인 지일파"라며 일본과의 물밑접촉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이 총리는 이날 타지키스탄 현지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기존 네트워크를 활용한 한·일 관계 개선 노력을 하고 있냐'는 질문에 "없다고 말할 순 없다"면서도 "모종의 흐름도 진행되고 있지만 신뢰를 위해 (상대를)공개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답했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대일 특사 가능성에는 "저와 논의한 적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도 "지금으로서는 드릴 수 있는 이야기가 없다"고만 했다.

파이낸셜뉴스

이낙연 국무총리(가운데), 코히르 라술조다 총리(오른쪽), 박재신 코이카 사업전략·아시아본부 이사(왼쪽)가 16일(현지시각) 타지키스탄 두샨베에서 열린 정부 개발협력 대표 전담기관인 코이카(한국국제협력단·KOICA) 로밋지역 전력망 구축 사업 착수보고회에서 환담을 나누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fnkhy@fnnews.com 김호연 기자

fnkhy@fnnews.com 김호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