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김정은에서 트럼프까지…시진핑, 열흘간의 총력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21일 평양 방문→28~29일 G20서 트럼프와 회담

미국발 3000억달러 관세 막기위해 北 비핵화 견인할듯

홍콩문제로 구겨진 국제사회 이미지 개선도 '관건'

이데일리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AFPBB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베이징=이데일리 김인경 특파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21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시작으로 28~29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는 외교전을 시작한다. 미국과의 무역 갈등이 깊어지는데다 홍콩 시위 사태로 국제사회에서의 입지까지 줄어드는 상황에서 중국이 어떤 한 수를 내놓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19일 중국 신화통신과 중앙(CC)TV 등에 따르면 시 주석은 전날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를 하고 오는 28~2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미·중 정상회담을 하기로 했다.

시 주석은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를 하며 “나는 트럼프 대통령과 G20 정상회의 기간 회담을 통해 중미 관계 발전의 근본적인 문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길 원한다”면서 “경제 무역 문제에서 양측은 평등한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하며 관건은 서로의 합리적인 우려를 고려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중국 정부는 G20 정상회의 기간 중 양국 정상이 만나는지 여부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 전화통화를 통해 양측의 만남이 완전히 공식화됐다.

그런데 시 주석은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기 일주일 전인 20~21일 북한으로 먼저 향한다. 중국 최고 지도자가 북한을 방문하는 것은 무려 14년 만의 일이다. 2005년 이후 북한이 핵실험을 하며 북·중 관계는 벌어졌기 때문이다. 2018년부터 김 위원장이 중국을 4번이나 방문하며 시 주석에게 답방을 권유했지만 중국은 미국의 눈치를 보느라 방북을 꺼려왔다.

보름간 이어지는 외교전에서 시 주석의 가장 큰 목표는 미국의 관세 철회다. 현재 미국은 325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고율의 관세를 매기겠다는 태도다. 여기에 중국의 산업전략 ‘제조 2025’를 견제하는 차원에서 중국 기업 화웨이에 대한 봉쇄전략까지 펴며 중국 경기는 점점 불황으로 빠지고 있다.

이에 시 주석은 북한을 이용해 미국과의 협상을 유리하게 펼 것으로 보인다. 지난 2월 북·미정상회담이 결렬된 이후 북한의 비핵화 상황이 진전이 없는 만큼, 북한을 직접 만나 핵을 포기하고 국제사회로 나오길 설득할 것이라는 얘기다.

루캉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전날 정례 브리핑에서 시 주석의 방북을 통해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 프로세스가 새로운 진전을 거두도록 노력하겠다면서 이번 방북 목적이 북·미 대화 재개에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다만 자칫 중국이 북한의 주장하는 경제 제재 해제에 손을 들어줄 경우 미·중 관계는 더욱 틀어질 수 있다. 이미 “미국은 우리의 목표는 북한의 FFVD, 즉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비핵화의 달성”이라는 뜻을 재차 밝히고 있다.

게다가 북한 변수와 상관없이 중국이 무역협상에서 근본적인 변화가 없다면 미국은 중국에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이다.

시 주석의 또 다른 목표는 국제사회 이미지 개선이다. 최근 미국이 중국 기업의 ‘스파이 행위’에 대해 비판하며 화웨이를 비롯한 중국 기업들의 글로벌 이미지가 단단히 구겨졌다. 여기에 홍콩 시위 문제까지 더해지며 중국의 이미지는 전례 없이 나빠진 상태다.

강경 친중파인 캐리 람 행정장관은 홍콩 시민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범죄인 인도법안’을 강행처리하려다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았다. 홍콩 내 친중파들은 지난 12일엔 입법을 막으려는 시민들을 강경 진압하려다 72명이 다치며 비난을 받았고 16일엔 홍콩시민 720만명 중 무려 200만명이 거리로 나와 집회를 펼치며 정치적 궁지에 몰리게 됐다. 결국 람 장관은 법안처리를 무기한 연기하고 시민들에게 사과를 하고 있지만 홍콩이 점점 ‘중국화’ 되고 이 배경에 시 주석이 있다는 지적에서 피하기 힘든 상황이다.

이에 중국은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 힘을 실으며 이미지 개선에 나설 전망이다. 만일 중국의 적극적 개입으로 북미 대화가 재개될 경우, 시 주석은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강조하며 국제사회에서 존재감을 부각할 수 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