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취재파일] 미궁에 빠진 반달곰 죽음…원인 밝힐 수 있을까?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리산에 사는 반달가슴곰 2마리가 지난 4월 중순과 5월 중순쯤 잇따라 숨진 채 발견됐다. 장소는 1천 미터가 넘는 지리산 왕시루봉 근처다. 이름은 RM69와 KM64로 둘 다 수컷 곰이다. 2살짜리 동갑내기다. RM69는 러시아에서 들여와 지난해 11월 지리산에 방사한 5마리 중 1마리다. 또 KM64는 국립공원공단 종복원기술원에서 지난해 2월 인공수정으로 태어났다. 8개월간 자연적응훈련을 거친 뒤 지난해 10월 방사됐다.

지리산에 방사되는 반달곰의 귀에는 위치 신호를 보내는 발신기가 달려있다. 반달곰에게 무슨 일이 있는지 추적관리하기 위해 달아 놓은 것이다. 종복원기술원 연구원들은 안테나를 들고 발신기에서 전해오는 신호음을 잡아 반달곰의 위치를 파악하고 있다. 그런데 지난 4월과 5월 수컷 곰 2마리의 위치 신호에 이상이 생겼다. 둘 다 3일에서 7일가량 움직임이 없었다. 반달곰은 이미 겨울잠에서 깨어난 상태였다. 며칠씩 한 장소에서 움직임이 없다면 뭔가 사고가 생긴 것이다. 연구원들은 불안감에 즉시 안테나를 들고 숲속으로 들어갔다. 수컷 반달곰 2마리의 죽음은 그렇게 확인됐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반달곰의 사체가 발견된 장소에는 올무 같은 것은 발견되지 않았다. 사냥도구로 밀렵을 당하진 않은 것으로 보였다. 그런데 반달곰의 폐사체는 가죽과 뼈, 살점 일부만 남은 상태였다. 알 수 없는 육식동물이 뜯어먹은 것으로 추정됐다. 반달곰이 겨울잠을 깬 뒤 이동을 하다가 자연사한 경우는 10여 년 전쯤 있었다. 하지만 당시 폐사한 곰은 다 성장한 큰 개체였고, 다른 동물이 먹잇감으로 훼손을 하지도 않은 상태였다. 다른 동물의 먹잇감이 돼서 발견된 경우는 처음이다. 종복원기술원은 반달곰이 겨울잠에서 깨어난 뒤 한두 달 지난 상태고 나무 새순이나 약초 등도 자랄 시기여서 영양부족으로 굶어죽을 가능성은 거의 없을 걸로 판단했다. 의심해 볼 수 있는 것은 질병에 걸렸거나 최상위 포식자인 맹수의 공격을 받아 죽었을 가능성이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종복원기술원은 반달곰 사체가 발견된 곳에 포획 틀 4개를 놓았다. 러시아에서 들여와 방사한 나머지 4마리 곰 중 일부를 붙잡아 혈액검사를 해보기 위해서다. 또 사체가 발견된 장소 주변에 고라니 사체를 던져놓고 무인카메라 10여 대를 설치했다. 혹시 나타날지 모를 육식동물의 정체를 영상에 담기 위해서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아직까지 아무런 단서도 얻지 못했다. 최근 무인카메라 녹화 영상을 확인했으나 맹수는 물론 담비의 모습도 찍히지 않았다.

국립공원공단은 지난 14일 반달곰 폐사체를 원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보내 감정을 의뢰했다. 올무 등 불법 사냥도구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혹시 폐사체에 독성이 남아있는지 규명해 독극물을 이용한 범죄와의 연관성을 가려보기 위해서다. 뼈나 살점, 가죽 상태 등을 통해 맹수 등의 공격을 받고 죽었는지 살펴보는 것도 관심사다.

하지만 국과수는 오늘(18일) 수사기관에서 의뢰한 감정물이 아니기 때문에 분석을 진행할 수 없다면서 국립공원공단에 시료 반송을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립공원공단은 독극물 분석 등을 할 수 있는 곳을 찾아 다시 맡길 방침이다.

국립공원공단은 지리산과 김천 수도산, 가야산 일대에 사는 KM53을 포함해 야생 반달곰은 64마리라고 밝혔다. 지난해까지 62마리에서 올해 4마리가 새로 태어났고, 2마리가 죽었기 때문이다. KM53은 이달 초 가야산에서 40km 가량 떨어진 구미 금오산으로 이동하기도 했다. 열흘 가량 금오산에 머물던 KM53은 지난 15일 밤 가야산으로 다시 복귀했다.

지난 4월과 5월 지리산 어린 반달곰들에겐 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반달가슴곰의 야생적응과 서식지 확산 등을 분석하기 위해서라도 반달곰이 죽은 이유는 밝혀야 할 연구과제다.

▶[하이라이트 영상] 2019 FIFA U-20 월드컵
▶[인-잇] 사람과 생각을 잇다
▶네이버 메인에서 SBS뉴스 구독하기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