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8 (목)

바람보다 빠른 예금금리 인하…그래도 돈 몰리는 정기예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시장금리 하락에 시중은행 정기예금 0.01∼0.20%p↓

정기예금으로 모인 돈 629조…"대체·분산 투자해야"

연합뉴스

5대 시중은행 로고
5대 시중은행 본점의 로고, 위에서부터 국민은행, 신한은행, KEB하나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 [촬영 이세원]



(서울=연합뉴스) 구정모 김연숙 한혜원 기자 =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낮추기도 전에 시중은행들이 정기예금 금리를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갈 곳 없는 자금은 '박한' 이자에도 여전히 정기예금으로 향하고 있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 KB국민은행, KEB하나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 등 시중은행들은 최근 일부 정기예금 상품 금리를 적게는 0.01%포인트, 많게는 0.20%포인트 낮췄다.

신한은행은 지난 11일 '달.콤커피 정기예금'과 'X GOLF 정기예금'의 금리를 연 1.73%에서 1.72%로 낮췄다. 13일에는 '쏠편한정기예금' 금리를 연 1.83%에서 연 1.81%로 0.02%포인트 인하했다.

하나은행은 3일 '369정기예금'의 1년제 최고금리를 2.1%에서 1.9%로 0.20%포인트 낮췄고, 우리은행은 10일부터 '위비SUPER주거래예금2'의 금리를 연 2.0%에서 연 1.90%로 내렸다.

올 초만 해도 2%대 금리의 정기예금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지만 어느새 달라졌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중 금리가 2%를 넘어서는 상품은 하나은행의 'N플러스 정기예금'이 2.05%로 유일했다.

은행들은 시장금리 하락 흐름에 따라 대출금리가 낮아졌기 때문에 예금금리를 조정한 것이라고 설명한다. 기준금리 인하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은행들이 수익성을 고려해 선제적으로 대응한 측면도 있다.

한 은행 관계자는 "이번에 금리를 인하한 상품은 애초 설계된 기본금리가 다른 은행의 상품보다 높은 상품"이라며 "시장금리가 계속 떨어지다 보니 역마진(손해)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소득•담보 누락해 고금리 부과…시중은행 이자놀이(CG)
[연합뉴스TV 제공]



과거처럼 짭짤한 이자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지만 정기예금에 유입되는 자금은 꾸준히 늘고 있다.

5대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이달 13일 기준으로 629조3천265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1월의 605조5천474억원과 비교하면 23조7천788억원(3.9%) 증가한 수치다. 2∼5월엔 각각 615조4천124억원, 613조4천614억원, 620조1천614억원, 628조1천44억원이었다.

정기예금은 가계나 기업 등이 일정 기간 은행에 돈을 넣어둔 뒤 약정된 이자를 받는 저축성 예금이다. 저금리 시대엔 자산 증식 수단으로 매력이 크게 떨어지지만, 다른 마땅한 투자처가 없으니 자금이 계속 몰리는 것이다.

당국의 규제로 부동산 시장이 침체기에 있는 데다 자본시장 역시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에다 한국경제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이 겹쳐지면서 불안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은행에서 돈을 빼더라도 갈 곳이 마땅치 않기 때문에, 일단은 낮은 금리라도 안전한 정기예금에 돈을 넣고 상황을 지켜보려는 심리가 강하다는 분석이다.

은행 관계자는 "기업이든 개인이든 목적이 있는 자금은 일단 대부분 보수적으로 접근해 정기예금으로 운용하려는 수요가 있다"고 말했다.

요즘 획기적인 금리를 미끼로 고객을 유치하는 특판 상품을 찾아보기 힘든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반대로 고금리 특판 상품이 한번 나왔다 하면 더욱 뜨거운 인기를 누린다.

그는 "과거에는 펀드, 부동산으로 빠져나가는 자금을 잡으려 특판을 많이 기획했지만, 지금은 그렇게 안 해도 예금이 많이 들어오니까 제2금융권을 제외하면 잘 찾아보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저성장·저금리 구조가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 자산관리 방식도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1%대 예금금리로 기대할 수 있는 이익이 작아졌으므로 해외투자나 부동산 구조화 상품 등에 대체·분산투자해 이익을 높이면서도 위험을 분산할 것을 권한다.

송재원 신한PWM서초센터 PB는 "당분간 금리가 오르긴 쉽지 않은 구조로, 국내에서 정기예금이나 확정된 채권 상품으로 앞으로 2% 이상 수익을 내기는 쉽지 않다"며 해외 채권에 투자하거나 해외 채권펀드에 가입하는 방안을 소개했다.

김현섭 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도곡스타PB센터 팀장도 "주가연계증권(ELS)이나 대출형 부동산 펀드, 헤지펀드에 고객들의 관심이 많고 달러나 금 같은 분산투자에도 자금이 몰린다"며 "주식형도 헤지펀드 혹은 비상장주식에 투자하거나, 메자닌(주식과 채권의 중간 성격) 등 특성 있는 주식 위주로 하나씩 따져서 투자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pseudojm@yna.co.kr, nomad@yna.co.kr, hye1@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