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이슈 게임정책과 업계 현황

게임개발자들, 게임 이용 안해도 '고위험군' 척도 기반 논문 WHO 결정 문제 있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포츠서울

출처 | JESHOOTS.COM on Unsplash


[스포츠서울 김진욱기자] 한국의 게임 개발자 단체들이 세계보건기구(WHO)가 게임이용장애에 질병 코드를 부여한 것과 관련해 자신들의 입장을 9일 성명서를 통해 밝혔다.

게임 개발자 단체들은 ‘복지부·중독정신 의학계의 게임질병코드 국내 도입에 대한 반박’이라는 제목의 성명서에서 게임은 놀이나 취미 활동의 하나로 오류와 편견으로 만들어진 논문을 기반으로 한 WHO의 결정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게임중독이라는 가상의 질병을 만들어 과잉 의료화하려는 불순한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다는 입장도 내놨다.

이번 성명에는 사단법인 한국개발자협회와 한국인디게임협회, 넥슨 노동조합, 스마일게이트 노동조합, 스마트폰게임개발자 그룹 등이 참여했다.

개발자 단체는 가장 먼저 게임 이용 장애 연구가 너무 낡은 인터넷 중독 진단 척도에 기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게임중독 논문에 사용된 중독 진단 척도가 1998년 개발된 인터넷 중독 진단 척도(IAT)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각종 연구 논문의 기준이 된 게임 중독 진단 척도 기준(IGUESS)도 문제가 있음을 지적했다. 이 척도는 1998년 개발된 인터넷 중독 진단 척도 문항을 그대로 번안한 수준이라는 것. 평소 게임을 하지 않는 사람이 자가문진을 해도 ‘잠재적 위험군 혹은 고위험군으로 나오는 비상식적인 결과를 내놓는 척도를 가지고 만들어진 수백편의 연구 논문에 지난 수년간 250억원이나 투입이 됐다는 사실도 집중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독정신 의학계가 인터넷 게임 중독과 관련한 논문수가 충분하다고 주장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것이다.

여기에 중독정신 의학계가 신규 의료 영역 창출로 수익을 챙기려는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담았다.

개발자 단체는 “중독 치료에 대한 국가 지원금이 복지부 예산의 1.5%(1713억원)로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은 이해한다”며 “하지만 재정적 결핍을 이유로 게임중독이라는 가상의 질병을 만드는 과잉 의료화가 시작되고 신규 의료 영역을 창출하려는 불순한 의도가 있음을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어 개발자 단체는 “중독정신 의학계가 게임 중독을 규정하려면 우선 게임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기반이 돼야 한다”며 “게임이용 장애 현상에 대한 용어조차도 학계에서 합의가 안 된 상황이다. 게임질병코드 도입을 위한 KDC 등재를 원한다면 그에 걸맞는 충분한 연구 결과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개발자 단체는 성명서 끝부분에 “게임질병코드 도입을 위해 노력해온 중독정신 의학계의 일부 학자들은 WHO 총회의 결정이라는 거대한 권위 뒤편에 서서 자신들의 눈과 귀를 막은 채 그럴듯한 학술로 포장된 일방적이며 공허한 주장을 반복하는 것을 즉시 멈출 것을 부탁드린다”며 “의약계뿐만 아니라 사회과학, 심리학 등 관련 학계 전문가들과 함께 객관적인 연구를 통해 사회 구성원 모두가 인정할 수 있는 포괄적 지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jwkim@sportsseoul.com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