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김원봉 ‘서훈’ 두고…여당내 온도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상 아니다…주려고 하면 비판”

“논의조차 막아선 안돼” 목소리도

‘김원봉 서훈’ 논란에 여권 내에서도 여러 의견이 나오고 있다. 해당 논란은 문재인 대통령이 약산 김원봉을 언급하며 “임시정부가 좌우합작을 이뤄 광복군을 창설했다”고 하면서 본격적으로 일어났다.

10일 정치권에 따르면 ‘김원봉 논란’을 중심으로 한 친북 독립운동가에 대한 여권 내 새로운 평가 움직임의 핵심은 ‘서훈 논의까지 하는 것이 옳으냐’다. 여권은 대체로 독립운동과 이념활동을 별개로 봐야 한다는 의견 자체에는 동의했다. 이해식 민주당 대변인은 “김원봉의 월북 이후 행적을 끌어들여, 광복군 운동 자체를 색깔론으로 덧칠하는 일이야말로 역사 왜곡”이라고 했다.

의견은 서훈 부분에서 갈린다. 신중론자들은 기본적으로 여권에서 서훈 자체를 공식적 논의의 장으로 들여오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아직 여권 내부에서 논의가 안된 사안이기 때문에 정치권 논쟁으로 확대시킬 필요도 없다는 것이다. 청와대도 “역사적 평가는 역사학계에서 할 의제”라고 선을 그은 상태다.

정무위 소속의 한 민주당 의원은 이날 통화에서 “독립운동을 한 부분까지 부인할 수는 없다. 그것을 잊으면 그 가족은 얼마나 억울하겠느냐, 빼앗긴 조국을 위해 목숨을 걸고 싸운 부분은 어떻게 할 것인가”라면서도 “남북문제가 첨예한 상황에서 북한정권 수립에 공이 있는 분에게 서훈까지 주는 부분은 우리가 더 성숙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게다가 현재 보훈처 기준상 북한정권 수립에 동조한 사람은 줄 수 없게 돼 있다”며 “(야당의 비판은) 해당 규정을 우리가 바꾸려고 한다면 그때 할 비판들”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 대통령 말 한마디를 따서 공격하는 것은 이념으로 나라를 분열시키는 것”이라고 했다. 국가보훈처는 앞서 “‘북한 정권에 직접적으로 기여한 자는 독립유공자 서훈이 안된다’는 단서 조항에 따라 그가 서훈 대상이 아닌 것은 확실하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서훈에 긍정적인 목소리를 내는 이들도 있다. 일부 시민단체와 학계에서 적극적으로 나섰고, 여권에서도 지지하는 목소리가 존재한다. 친북 행적 때문에 독립운동이라는 공이 과도하게 폄훼됐다는 것이다.

여당의 공식행사에서도 비슷한 의견이 나온 바 있다. 이만열 전 국사편찬위원장은 지난달 2일 ‘독립지사 서훈,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이름의 당정청 정책토론회에서 “독립유공자 서훈 심사에 적용할 공적의 심사 대상과 평가는 시기적으로 1945년 8월 14일까지 해야 한다”며 “사회주의자들의 독립운동을 독립운동으로 인정하는 것이 원칙에 충실하다”고 했다. 정무위 소속 고용진 민주당 의원은 이와 관련 통화에서 “해당 의견에 동의한다”고 했다.

홍태화 기자/th5@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