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5G 시대] (完) 드론·킬러로봇 배치…軍도 바뀐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편집자] 3G, LTE에 이어 5세대(5G) 통신 시대가 시작됩니다. 사물과 인간이 촘촘히 이어지는 명실상부한 '초연결시대'가 구현되는 것입니다. LTE 보다 20배 빠른 네트워크 속도는 일상의 변화는 물론 인공지능·가상현실·자율주행·스마트홈 등 4차산업혁명을 완성하는 기반입니다. 뉴스핌은 '세계 최초 5G 상용화'와 맞물려 5G란 무엇이며, 기업과 정부의 역할, 바뀌는 세상은 어떤 모습일지 등 총 50회에 걸친 '5G 빅 시리즈'를 준비했습니다.

[서울=뉴스핌] 정탁윤 기자 = "기상~ 정 이병, 복장 착용 완료하고 5분내 경계초소 출동 준비 완료!"

새벽 3시, 단잠을 깨우는 고참의 목소리가 귓가를 어른거린다. 기상~ 목소리가 떨어지는 동시에 눈을 떠야 한다. 재빨리 전투복으로 환복하고 총을 챙겨 일직사령실로 향한다. 일직사령에게 소총 안전 유무 등 근무신고를 마친 후 경계초소로 이동한다. 군대를 다녀온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겪어봤을 얘기다.

5G 시대 개막과 함께 가까운 미래엔 군(軍) 문화도 확 바뀔 전망이다. 사람 대신 드론이나 로봇이 경계 근무를 하고, 킬러로봇이 전선에 배치된다. 국내외 군 관련 연구기관이나 기업들이 5G 기술을 적용한 미래 군사 무기나 시스템 도입에 나섰다.

방산업체 LIG넥스원은 최근 무인기제작 전문 강소기업인 성우엔지니어링(대표 김성남)과 국방·민수분야 미래 무인기 기술 개발 및 관련 신사업 개척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성우엔지니어링은 1993년 설립 이후 27년간 무인기 제작과 시험비행을 전문적으로 수행해 온 국내 최고 수준 무인기전문 업체다. LIG넥스원은 차기군단, 중고도 무인기 등 다수의 무인기 시스템을 개발한 경험을 갖고 있다.

LIG넥스원 관계자는 “LIG넥스원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바탕으로 드론 및 로봇의 국방분야 적용 확대에 주력중”이라고 강조했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는 미래시장 선점을 위해 수직이착륙 무인 기술 시범기를 2017년부터 자체 개발하고 있다. 수직 이착륙 무인기는 헬기 형태로 제자리 비행이 가능해 활주로 없이 자유롭게 이착륙할 수 있다. 5G 기술을 접목하면 다른 전투기나 무기 체계와 실시간으로 각종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다.

뉴스핌

LG유플러스 스마트 드론 [사진=LG유플러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LG유플러스는 지난달 군사용 드론을 활용, 31사단과 공동으로 해상작전을 펼치기도 했다. LG유플러스는 드론을 활용 △해상 상황 실시간 대응 △해안 수색 정찰 △고속 침투 상황 대응 △건물 내부 수색 △주둔지 경계 △봉쇄선 내 공중 수색 등을 선보이며 다양한 드론 활용 방안을 제시했다.

LG유플러스 기업5G사업담당 서재용 상무는 “5G 기반의 U+스마트드론은 고용량 이미지를 고속 촬영하고 실시간 전송해, 긴급 상황에도 즉시 대응이 가능해진다”라며 “향후 관제 시스템에 인공지능(AI)·빅데이터를 접목하고 민·관·군 협력을 통해 지속적으로 드론의 활용도를 넓혀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좀더 먼 미래에는 '킬러 로봇'이 인간의 역할을 대신해 전쟁을 수행할지도 모른다. 킬러 로봇은 전장에서 적군을 살상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인공지능(AI) 로봇이다. 감정 없이 기계적 판단에 의해 인간이 프로그램해 놓은 대로 수류탄을 던지거나 총을 쏴 적군을 살상한다.

킬러로봇 개발에 대해서는 민간인 살상 가능성과 테러리스트들에 의한 악용 소지 우려로 아직 조심스런 상황이다. 다만 잘못된 판단 예방을 할 수 있고 오히려 킬러로봇끼리의 전투로 인명 피해를 줄일수 있다는 점에서 개발에 찬성하는측도 만만찮다. 킬러 로봇에게 있어 역시 5G 기술은 핵심 기술이 될 전망이다.

방산업계 한 관계자는 "군은 보안이 생명인 만큼 5G를 당장 민간과 같은 속도로 도입 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다만 5G 기술을 활용한 드론이나 드론봇 같은 분야는 조만간 군에서도 적극 활용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tack@newspim.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