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8 (목)

[황종택의신온고지신] 폐구심장설(閉口深藏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말(言)조심하자. 말 한마디에 용기를 얻는가 하면 좌절의 늪에 빠지기도 한다. 말의 생명력이다. 언어는 의사교환의 수단이자 사물 의미를 규정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어 폭언이나 실언은 예상하지 못한 후유증을 낳는다.

당나라의 풍도가 “입을 닫고 혀를 깊이 감추면 가는 곳마다 몸이 편안하리라(閉口深藏舌 安身處處牢).”라고 말조심을 당부한 이유이기도 하다.

누구보다 사회지도층은 말 한마디, 행동 하나를 신중하게 해야 한다. 영향력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정치인들이 조심해야 한다. 여야 간에도 할 말, 안 할 말 가려야 한다. 금도(襟度)다. 조선의 르네상스를 이끌었던 정조는 말을 조심하라며 “사람은 언어로 한때의 쾌감을 얻으려 해서는 안 된다. 나는 미천한 마부에게라도 일찍이 이놈 저놈이라고 부른 적이 없다(人不可以口業取快於一時 予雖於僕御之賤 未嘗以這漢那漢呼之也).”고 가르쳤던 것이다.

이에 앞서 공자는 품격 있는 말을 군자의 필수덕목으로 삼을 정도였다. ‘논어’에 나오는 말이다. “남용이 백규란 내용의 시를 하루에 세 번 반복하니 공자가 자신의 형님의 딸을 그에게 아내로 삼도록 했다(南容三復白圭 孔子以其兄之子).”

남용은 공자의 제자이고, 그가 반복한 시는 ‘시경’에 나오는 다음 구절이다. “흰 구슬의 티는 오히려 갈 수 있지만, 말의 흠은 어찌할 수 없네(白圭之? 尙可磨也 斯言之? 不可爲也).” 남용이 이 내용을 하루 세 번 반복할 정도이니, 그가 얼마나 말을 조심스럽게 했는지를 알 수 있다.

사리가 이러함에도 근래 정치권에서 막말이 줄을 잇고 있어 개탄스럽다.

불교 ‘잡보장경’의 무재칠시(無財七施·재산 없어도 베풀 수 있는 7가지 보시)에 “부드럽고 다정한 말로 상대방을 감동시키고 즐겁게 한다”는 ‘언시(言施)’가 들어 있다. 그렇다. 지혜로운 혀는 세상을 선하게 하고, 어리석은 혀는 제 몸을 베는 법이다. 남의 입에서 나오는 말보다 자기 입에서 나오는 말을 잘 들으라는 경구도 그래서 나왔다. 말은 인격이다!

황종택 녹명문화연구원장

閉口深藏舌 : ‘입을 닫고 혀를 깊이 감추라는 내용으로 말조심하라’는 뜻.

閉 닫을 폐, 口 입 구, 深 깊을 심, 藏 감출 장, 舌 혀 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