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6 (화)

포항지진이 남긴 숙제…"지진평가·관리 새 모델 개발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연구단, 사이언스에 기고…"도시 규모도 고려 필요"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포항지진의 원인을 분석하며 지하 물 주입 시 쓰는 지진 위험관리 체계가 적합하지 않음을 알았다. 새 체계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리려 했다"

지난 1년간 포항지진 정부조사연구단을 이끈 이강근 서울대 교수는 24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과학정책 포럼'(Science Policy Forum)을 발표한 배경을 이 같이 전했다. 과학정책 포럼은 기고문의 한 종류인데, 논문처럼 전문가 3명에게 데이터와 메시지 검토를 받는 과정이 있다.

지난 3월 정부조사연구단은 2017년 11월 발생한 규모 5.4의 포항지진이 '인재'(人災)라는 결과를 발표했다. 인근 지열발전소에서 물을 땅속으로 수차례 주입했고, 이 영향으로 단층이 어긋나며 강진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연합뉴스

2017년 11월 15일 규모 5.4 지진으로 파손된 한동대 외벽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photo@yna.co.kr



당시 발표는 학계에도 충격을 안겼다. 지금껏 지열발전이 원인으로 지목됐던 지진은 규모 4.0 미만이었는데, 인위적인 요인으로 규모 5.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음이 확인된 것이다.

지진이 발생한 날, 이 지진이 지열발전소의 영향임을 지목한 학자들도 있었다. 지열발전소에서는 5차례 물 주입을 했고 이때마다 규모 4.0미만의 지진이 발생했다. 그러나 반론도 있었다. 강진을 일으키기엔 물의 양이 부족하고 물 주입과 지진 발생 사이에 2개월의 기간 차이가 난다는 것이었다.

이에 정부는 국내외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단을 꾸려 조사에 나섰고, 1년 뒤 연구단은 포항지진이 지열발전소 물 주입에 의한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연구단은 사이언스 기고문에 이런 내용을 모두 담았다. 지금껏 지진 규모가 주입하는 물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고 알려졌는데, 이런 이론이 잘못 됐다는 것이다. 연구단은 "포항지진의 사례처럼 지하 응력과 단층의 상태에 따라 지진의 규모가 달라질 수 있다. 새 모델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물 주입을 중단해도 영향이 남는다는 것도 확실해졌다. 현재 각국은 물 주입을 할 때 발생하는 지진 규모에 따라 주입량을 조절하는 방식을 쓰는데, 보다 복합적인 요인을 고려해 이런 위험관리 체계를 보완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연구단은 기고문에서 포항 같은 도시의 특수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같은 규모의 지진이 나도 인구가 적은 지역과 대도시 인근은 피해 규모가 다르다.

한편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에 따르면 포항지진 직후 실험이 중단된 포항 영일만 이산화탄소 저장 실증사업은 포항지진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포항지진과 지열발전소 (CG)
[연합뉴스TV 제공]



su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