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사설]2030의 우울한 미래 전망 가볍게 봐선 안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적 컨설팅 전문회사 ‘딜로이트 글로벌’이 전 세계 42개국 밀레니얼세대(1983~1994년생) 1만34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9 밀레니얼 서베이’ 분석 결과를 21일 내놓았는데, 한국 청년세대의 미래 전망은 온통 ‘잿빛’이었다. 올해 “경제가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자는 지난해 48%에서 13%로 급락, 42개국 평균의 절반 수준에 머물렀다. 정치·사회 전망을 긍정적으로 본 응답자도 지난해 52%에서 16%로 떨어지며 세계 평균치보다 낮았다. “현재 생활에 만족한다”는 응답자는 10명 중 1명뿐이었다. 이 항목의 42개국 평균 응답률은 29%였다. 한국 청년들은 높은 연봉과 부유함(63%), 자가주택 소유(56%)를 꿈꾸면서도 가정을 이루겠다는 응답은 28%에 그쳤다. 직장 만족도도 낮았다. 절반 이상이 “2년 이내에 현 직장을 떠나겠다”고 답했다. 한국의 미래를 책임져야 할 청년들의 진단은 이처럼 참담했다.

청년들에게 희망을 빼앗은 것은 우리 사회다. 청년 실업률은 11.5%까지 치솟았고, 구직 포기자도 200만명을 넘어섰다. 고용세습·채용 비리는 잊을 만하면 터져나와 좌절감을 안긴다. 폭력·폭언 등 갑질문화도 사라지지 않고 있다. 불안한 일터에서 ‘김용균’과 같은 20대의 억울한 죽음도 이어지고 있다. 직장을 다녀도 7년간 한 푼도 안 쓰고 모아야 집 한 채를 마련할 수 있다. 상황이 이러니 ‘결포·직포 세대’가 늘고, 결혼을 해도 아이 한 명 안 낳는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청년 불안은 세대 간 갈등의 골도 깊게 하고 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조사 결과 청년 10명 중 3명은 “기성세대는 노력에 비해 큰 혜택을 누리면서도 배려가 없다”고 답했다. 이런 응답률이 한 해 전보다 10%이상 증가했다.

청년의 우울한 미래 전망은 한국 사회의 불안한 미래로 연결될 수 있다. 이들에게 ‘희망 사다리’를 놓아주어야 한다. 원하는 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하고, 안전한 일터를 제공해야 한다. 주거·의료 지원도 꼼꼼히 챙겨야 한다. 해법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청년기본법’의 제정과 시행이 그것이다. 이미 6개 법안이 발의된 상태다. 법안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로 하여금 고용뿐 아니라 능력 개발과 주거·금융·문화생활을 지원할 근거를 담고 있다. 여야는 법안에 대해 합의도 했다. 이제 국회가 하루라도 빨리 법안을 처리하면 된다. 그것이 미래를 걱정하는 청년들에게 ‘희망’을 되돌려주는 첫걸음이다.

최신 뉴스두고 두고 읽는 뉴스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