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독일에 19층 나무 아파트…국내선 5층 최고, 더 못 올라가는 이유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독일 '빌트슈피체' 2021년 준공

세계 최고층 목조 아파트

친환경·고강도·긴 수명

한국은 규제 탓에 높이 못 지어

[김민중의 별별부동산]

중앙일보

독일 함부르크 하펜시티의 '빌트슈피체' 프로젝트 조감도 [사진 스토머머피앤파트너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나무로 아파트를 만드는 시대가 열리고 있다.

독일 함부르크 하펜시티에선 목조 아파트 '빌트슈피체'가 지어지는 중이다. 빌트슈피체는 19층, 190가구로 구성된다. 2021년 준공 예정이다. 이 아파트가 지어지면 '세계 최고층 목조 아파트(주상복합 제외)' 반열에 오르게 된다.

왜 기존의 철근콘크리트 대신 나무로 아파트를 만드는 걸까. 무엇보다 친환경적이기 때문이다. 설계를 맡은 스토머머피앤파트너스는 "목재를 건축 자재로 사용하면 건강한 실내 환경을 만끽할 수 있다"고 밝혔다. 목재의 뛰어난 습도조절 능력과 단열 성능, 따뜻한 느낌 등을 강조한 것이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나무는 지구 온난화 해소에도 기여한다. 탄소를 흡수하는 특성 때문이다. 목재 기둥 1개(길이 3m·폭 10.5cm)의 탄소 저장량은 6kg인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의 앤드루 와 건축사는 "목조 건축은 인간과 지구를 건강하게 한다"고 말했다.

또한 비강도(재료의 무게 대비 강도)가 커서 내진 성능 등이 뛰어나다. 일본 고베에서 1995년 대지진이 일어났을 때 목조 주택이 상대적으로 적은 손해를 봐 관심을 끌었다.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에선 2011년 강진 이후 목조 건축물(매시 대학교 등) 위주로 도시를 재건했다. 목재가 비나 화재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기술도 확보됐다.

나무로 아파트를 만들면 건설 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도 있다. 현장 시공 대신 사전 제작 중심으로 건설이 진행되기 때문이다. 또 상대적으로 조용하고 안전하게 지어지는 덕분에 안전사고는 크게 줄어든다. 나중에 건물을 헐게 되면 목재는 재활용도 가능하다.

나무 아파트는 수명도 길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에 따르면 기후변화를 고려한 목조 건물의 적정 수명은 75년으로 철근콘크리트(50년)보다 25년 더 길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건축 비용의 경우 아직은 목조 아파트가 철근콘크리트보다 다소 비싸다는 게 중론이다. 그러나 기술 개발이 고도화하고 대량 생산 체제가 자리 잡으면 경제성에서도 철근콘크리트를 능가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이 같은 장점 덕분에 선진국 사이에선 목조 아파트를 더 많이, 더 높게 지으려는 경쟁이 치열하다. 캐나다 밴쿠버에서는 2017년 나무로 만든 18층짜리 기숙사(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의 '브록커먼스')가 들어섰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은 2016년 높이 80층짜리 목조 아파트를 짓겠다고 발표했다. 오스트리아에선 24층짜리 목조 주상복합건물이 올라가고 있다.

비주택 목조 건축물도 잇따르고 있다. 지난해 2월에는 일본에서 지상 70층짜리 목조 빌딩 건축 계획이 나왔다. 일본은 2020년 도쿄 올림픽의 주 경기장을 목구조로 짓고 있기도 하다.

중앙일보

일본 스미토모린교는 지난해 2월 "2041년까지 도쿄 도심에 70층짜리 목조 빌딩을 건설하겠다"고 발표했다. [중앙포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이런 흐름에 뒤처져 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올해 4월 경상북도 영주시에 지은 5층짜리 '한그린 목조관'이 국내 최고층 목조 건축물이다.

더 높은 목조 건축물을 만들기 위해선 관련 규제를 풀어야 한다는 제안이 나온다. 심국보 산림과학원 목조건축과장은 "국내에서 나무 건축물은 18m 높이 제한을 적용받는다"며 "현재 국토교통부와 규제 완화를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영덕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본부장은 "위축된 건설산업에 활로를 뚫어준다는 측면에서도 관련 규제를 풀어야 한다"고 밝혔다.

김민중 기자 kim.minjoong1@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