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車·조선업 엔진 식어...철광석 값 올라도 철강업체 가격 올리지도 못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원료인 철광석값 30% 뛰었지만

수요산업 침체에 제품값 못 올려

열연가격 71만원···작년말 수준

업계 "계속 버틸 수 있을지 고민"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철강업계가 원료 값은 오르는데 제품 값은 올리지 못하는 딜레마에 빠졌다. 철강 원료인 철광석 가격이 30% 가까이 뛰었지만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수요산업이 침체에 빠져 무턱대고 가격을 올리기 힘든 상황이다. 철강업계는 원가 부담은 커지고 있지만 제품 가격 인상의 통로는 막힌 ‘가격 동맥경화증’에 빠졌다고 평가한다.

25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호주산 분광(가루 형태의 철광석)의 중국 도착 기준 가격은 지난해 말 톤당 72.2달러에서 4월 현재 92.0달러로 치솟았다. 약 4개월 만에 28% 넘게 상승했다. 지난 1월 브라질 댐 붕괴사고와 지난 달 서호주 지역을 강타한 싸이클론의 여파로 철광석 메이저 공급사인 발레와 리오틴토의 출하량이 줄었기 때문이다. 리오틴토는 올해 철광석 출하량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며 싸이클론으로 약 1,400만톤의 물량이 줄어들 것으로 추정했다. 브라질 상황은 더 심각하다. 많게는 9,000만톤까지 생산 차질을 빚을 것으로 업계는 추정하고 있다. 여기다 중국 철강업체들이 철광석 사재기에 나서며 가격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공급가격 상승에도 철강제품 가격은 ‘제자리 걸음’이다. 지난해 말 톤당 70만원까지 올랐던 국내산 열연 가격은 4월 현재 71만원에 머물러 있다. 후판 유통가는 오히려 소폭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원료 가격 등의 상승으로 원가가 뛰면 제품 가격이 오르기 마련이지만 국내 철강 시장은 이 같은 순환 구조가 막혀버렸다.

원가 부담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수요산업인 자동차와 조선, 건설 등의 업황이 회복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철강업계에 따르면 최근 기아차는 계열사인 현대제철에 자동차 강판 가격을 톤당 약 2만원 내려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제철은 현대·기아차에 연 500만톤 가까이 자동차 강판을 납품한다. 현대·기아차 납품가를 톤당 2만원 내리면 단순 계산으로도 1,000억원의 손실이 발생한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포스코는 지난 1월 실적 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조선용 후판 가격을 인상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여전히 결론을 내리지 못한 채 반발하는 조선사들과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는 지난달 “후판 가격 인상은 시황회복기에 있는 조선업계에 큰 부담”이라며 인상을 자제해야 한다는 입장문을 내기도 했다. 철근, 냉연강판, 도금강판 등 수요가 많은 건설업계도 시장 상황 악화로 고전하고 있어 제품가격 인상이 쉽지 않다는 게 철강사들의 고민이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철강업은 대부분 제조업의 기반이 되는 산업이어서 제품가격 인상이 미치는 여파가 넓고 수요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도 “철광석 가격이 크게 뛴 상황이어서 언제까지 인상을 억누를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 같은 현상의 피해는 규모가 작은 철강사일수록 크게 입는 상황이다. 포스코 등 대형사들은 세계 시장으로 매출처를 다변화하는 게 가능하지만 중소 철강사들은 원료가격 인상 여파를 그대로 감내하고 있는 상황이다. 규모가 작으면 수요산업과의 가격 협상력도 그만큼 떨어질 수 밖에 없다. 한 중견 철강사 관계자는 “대형사들은 거래회사들과 그래도 협상이 가능하지만 우리는 제시하는 가격을 고객사가 받아주질 않는다”며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진퇴양난의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박한신 기자 hspark@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