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단독]김정은ㆍ푸틴, ‘한반도 관심사’ 담은 합의문 채택 추진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하노이 회담 결렬 직후 북ㆍ러 정상회담 논의 속도"

"양측 실무자들, 정상간 논의할 내용 놓고 이미 가닥"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5일 정상회담을 한 뒤 합의문을 채택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양국 상황에 정통한 소식통이 23일 밝혔다. 김 위원장의 경호원과 정상회담 관련 장비를 실은 것으로 추정되는 북한 특별기(JS371)는 이날 오전 블라디보스토크 공항에 도착했다. 또 김 위원장의 숙소 및 회담장으로 유력하게 거론되는 극동연방대학 구내에선 한국말로 ‘환영’이라고 쓰인 장식과 함께 북한 인공기가 내걸렸다. 북·러 모두 회담 개최 사실을 공식화했지만 장소와 구체적인 일정은 함구하고 있다. 김 위원장이 집권한 이후 러시아와의 정상회담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앙일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금명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정상회담을 한다고 북한 관영 매체들이 23일 전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소식통은 “지난 2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된 직후부터 양측의 정상회담 논의가 속도를 냈다”며 “올해가 북ㆍ러 경제ㆍ문화협정 체결 70주년을 맞는 해이긴 하지만 북한이 미국과 협상에서 진전을 보지 못한 이후 양국의 접촉이 빈번해졌다”고 귀띔했다. 그는 “양측의 실무자들이 이미 정상간 논의할 내용의 가닥을 잡았고, 정상회담에서 합의문 채택을 시도하고 있다”고 알렸다. 정상간 합의문의 초안은 양측 실무진들이 이미 만들어놨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단, 양측이 합의한 내용을 공동보도문 형태로 공개할 지, 아니면 지난 1월 북ㆍ중 정상회담 때 처럼 장문(長文)의 기사 형태로 내놓을 지는 더 두고 봐야 한다는 게 소식통의 설명이다. 이에 대해 크렘린궁은 “성명 발표는 계획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리아노보스티 통신에 따르면 유리 류샤코프 러시아 크렘린궁 대통령 외교담당보좌관은 23일 기자들에게 “회담 의제는 한반도 비핵화 문제의 정치·외교적 해결이 될 것”이라며 “(회담 뒤) 문서 서명이나 성명 발표는 계획된 바 없다. 공동성명은 검토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북-러 정상회담을 앞둔 23일 오후(현지시각) 이날 북한에서 공수한 김 위원장의 전용차량이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학교로 들어서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두 정상은 회담에서 북한의 비핵화 방식, 양국 협력 관계 확대, 경제 협력 등을 논의할 전망이다. 정부 당국자는 “양측은 실무협의에서 다양한 현안을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협의를 진행한 것으로 안다”며 “특히 ‘한반도의 관심 사항’이라는 표현으로 비핵화와 경협 확대 부분을 논의하는데 상당한 시간을 할애했다”고 귀띔했다. 그러면서 “러시아는 중국과 함께 북한이 주장하는 비핵화 방식(동시적, 단계적)을 줄곧 지지해 왔다”며 “이번 회담에서 푸틴 대통령이 북한이 이를 재확인할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럴 경우 북한은 향후 미국과의 협상에서 버팀목을 확보하게 된다. 단 지난 18일(현지시간) 미국의 비핵화 협상 실무 대표인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러시아를 방문해 일종의 ‘예방주사’를 놓았다는 게 막판 변수다. 미국은 2월 하노이 회담 때 예외없는 철저한 비핵화와 제재 해제 등의 일괄 타결(빅딜)을 주장하며 회담을 결렬시켰다.

중앙일보

북러 정상회담을 앞둔 23일(현지시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공항 활주로 위로 북한 고려항공 특별편이 착륙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북한과 러시아는 외교 관계 확대 뿐만 아니라 의회와 민간 교류·협력을 더 확대하는 문제도 이번 정상회담에서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은 특히 이번 회담에서 러시아로부터 경협 확대를 얻어내 대북 제재의 돌파구로 삼으려 하고 있다. 전현준 한반도평화포럼 부이사장은 “해외 북한 노동자들의 연내 송환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지난 2017년말 정한 제재안(2973호)에 담겨 있는 내용”이라며 “러시아는 제재 예외사항인 인도적 지원을 확대하면서도, 북한이 간절히 원하는 노동자 비자 연장 문제를 어떤 식으로든 받아들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의 첫 대면인 만큼 뭔가 선물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