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종목이슈] 아시아나항공, 유동성 위기 해소 국면...관건은 업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김형락 기자 이영석 수습기자 = 산업은행 등 채권단이 아시아나항공에 1조6000억원 규모의 자금을 지원하기로 하면서 아시아나항공의 유동성 위기도 진정 국면에 들어섰다. 다만 매각 기대감에 단기 급등한 주가는 채권단의 자금 지원 소식에도 하락세다. 전문가들은 유가 흐름과 항공업황을 주가 방향을 좌우할 변수로 꼽는다.

뉴스핌

아시아나항공 A350 항공기. [사진=아시아나항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후 1시 48분 현재 아시아나항공은 전날보다 530원, 6.46% 내린 7680원에 거래중이다. 채권단의 자금 투입으로 유동성이 개선될 것이란 분석에도 주가는 내림세다. 매각 기대감으로 급등한 피로감 때문으로 풀이된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 11일 금호아시아나그룹이 제출한 자구안이 채권단으로부터 거절 당한 뒤 매각설이 이어지며 전날까지 114.4% 급등했다. 채권단의 지원 자금이 결국 인수자가 부담해야 할 가격을 올린다는 점도 주가 약세 원인으로 분석된다.

이날 오후 산업은행 등 채권단은 영구채 5000억원, 신용한도 8000억원 등 총 1조6000억원 규모의 아시아나항공 지원계획안을 내놓을 계획이다. 아시아나항공은 자본으로 인정되는 영구채 5000억원을 통해 유동성 위기를 극복할 신규 자금 확충과 더불어 부채비율도 낮출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또 필요 상황 발생 때 사용할 수 있는 크레딧 라인 등 신용공여 한도 8000억원을 확보했다.

증시 전문가들은 채권단의 자금 투입으로 아시아나항공이 단기 유동성 위기에서 벗어났다고 진단한다. 1조6000억원은 아시아나항공이 유동성을 개선하는데 충분한 규모라는 설명이다. 올해 만기 도래하는 아시아나항공의 차입금은 약 1조원이다. 이 중 반 정도는 은행권 금융이고, 나머지는 ABS(자산유동화증권) 만기다.

이한준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아시아나항공은 작년까지 ABS 만기 때 신규발행으로 대응해왔다"며 "은행권 차입금 만기연장(롤오버)은 산업은행을 통해 해결할 수 있지만, 올해 만기인 4000~5000억원 규모 ABS 신규발행이 불투명해져 유동성 위기가 불거졌는데 1조6000억원 자금지원으로 내년까지 유동성 대응은 충분하다"고 분석했다.

뉴스핌

[자료=아시아나항공,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나항공의 주가 약세는 그동안 과열된 투자가 진정되는 과정으로 풀이된다.

방민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아시아나항공은 최근 매각 기대감으로 주가가 올랐기 때문에 이날 항공주가 전반적으로 빠지는 상황에서 차익실현이 나오고 있다"며 "최근 주가가 적정했는지, 과대평가(오버밸류)했는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한준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채권단이 지원한 자금은 결국 새로운 인수자가 갚아야 할 돈"이라며 "아시아나항공이 가진 기존 차입금 3조원에 채권단 지원금 1조6000억원이 더해져 인수자금 부담 커진 측면도 주가 부담으로 작용했다"고 말했다.

아시아나항공 주가 방향은 결국 항공업황에 달려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박광래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항공업은 거시 경제(매크로) 변수 민감도가 높은 섹터"라며 "유류비가 전체 비용의 30% 차지하는 항공업 특성상 유가, 환율에 따라 업황 불황이 닥칠 경우 추가 자금이 필요할 수 있다"고 전했다.

아울러 "최근 아시아나항공 주가 상승은 회생에 베팅한 기관, 외국인 투자자보다 단기적 개인 수급 영향이 크다"며 "주가 수준만 보고 펀더멘탈(기초체력)이 좋아졌다고 판단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한편 채권단은 연내 아시아나항공 매각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이번 달 말부터 매각 주관사 선정 절차에 돌입할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에선 한화, SK 등을 아시아나항공의 유력 인수후보로 꼽는다. 아시아나항공 매각가는 채권단 지원자금, 금호산업 보유 지분가치 등을 포함한 가치 최소 1조원에 경영 프리미엄을 더한 가격이 될 전망이다.

rock@newspim.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