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사설] 대비책 시급한 동해안 지역의 잦은 지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어제 경북 울진군 해역에서 규모 3.8의 지진이 발생했다. 지난 19일 강원 동해시 앞바다에서 일어난 규모 4.3 지진에 이어 사흘 만의 일이다. 지난 2월에도 경북 포항 앞바다에서 규모 4.1의 지진이 발생한 바 있다. 이처럼 동해안에서 지진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국민들의 불안이 작지 않다. 지열발전소로 인해 촉발된 2017년 11월의 포항 지진은 제쳐놓더라도 경주시 근처에서 규모 5.8의 강력한 지진이 발생해 적잖은 피해를 냈던 2016년 9월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하다.

이번 지진으로 심각한 인명·재산 피해가 따르지 않은 것은 다행이지만 울진 일대에서 건물이 흔들리는 정도가 작은 편은 아니었다. 규모 4.0 안팎의 지진으로는 해일이 일어날 가능성도 적다고 한다. 하지만 이 정도의 지진이 육지에서 일어났다면 상당한 피해가 수반될 수밖에 없다. 며칠 전 동해에서 지진이 발생했을 때는 서울을 비롯한 전국 곳곳에서 지진을 느꼈다는 신고가 이어졌을 정도다. 이웃나라 일본과 대만에서 지진이 이어지는 것도 지진에 대한 공포를 부추긴다.

그러나 기상청은 이러한 현상을 앞으로 동해에서 더 큰 지진이 일어날 조짐으로 받아들이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최근 연달아 일어난 지진들이 서로 연관성을 지니고 있지도 않다고 주장한다. 나름대로 과학적인 근거를 토대로 설명하는 것이겠지만 반대 논리도 만만치는 않다. 2011년 일본 도호쿠 대지진의 영향으로 한반도가 일본열도 쪽으로 더 끌려가 지진이 발생하기 쉬운 여건이 만들어졌다는 주장이 그 하나다. 실제로 최근 들어 한반도 일대에서 지진발생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문제는 우리의 평소 대비가 얼마나 갖춰졌느냐 하는 것이지만 이에 대해서는 여전히 비관적이다. 지진이 일어나 피해가 나면 사후적으로 복구할 뿐이지 정부나 지자체 차원에서 적극적인 사전 대책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게 현실이다. 지진 대피를 알리는 경보에서부터 늦어지기 일쑤다. 여기에 백두산 지진 가능성까지 거론되는 상황이다. 그 대비책은 더욱 막막할 것이라 여겨진다. 지진을 비롯한 자연재해가 사전 경고 없이 불쑥 쳐들어온다는 사실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