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이것만 보면 고속도로 속살 다 보인다···노선번호의 비밀

댓글 3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노선번호를 보면 방향과 규모 등을 알 수 있다. [블로그캡처]


1970년 개통한 경부고속도로의 노선번호는 '1'번입니다. 우리나라의 대표 도로라는 상징성을 반영해서 붙여진 숫자인데요.

그러면 2번, 3번 고속도로도 있을까요? 그렇지는 않습니다. 한 자리 숫자의 번호를 가진 고속도로는 경부고속도로가 유일합니다. 대표성을 인정해서 예외를 허용한 겁니다.

국내에서 고속도로 등에 번호를 붙이는 방식은 국토교통부의 '고속국도 등 도로 노선번호 및 노선명 관리지침'에 정해져 있는데요.

[강갑생의 바퀴와 날개] 10번은 남단의 동서방향 간선도로
중앙일보

경부고속도로만 예외적으로 한자리 숫자인 '1'번을 사용한다. [블로그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지침에 따르면 고속도로의 노선번호만 알면 그 방향과 도로의 규모 등 웬만한 정보를 한눈에 알 수 있습니다. 노선번호가 '10'번인 고속도로를 예로 들어볼까요.

번호만으로도 알 수 있는 정보는 우선 동서로 뻗어있으며, 규모가 큰 간선도로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한다는 겁니다. 바로 '남해고속도로' 인데요. 전국의 고속도로 노선망을 확인해보면 번호를 통해 알아낸 정보가 정확하다는 걸 확인할 수 있을 겁니다.

그러면 번호만으로 어떻게 이런 정보를 알 수 있느냐고요? 고속도로의 경우 노선번호를 붙이는 원칙은 첫째 남북 방향은 홀수 번호, 동서 방향은 짝수 번호를 부여한다는 겁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남북 방향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갈수록 숫자가 커지고, 동서 방향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오름차순으로 노선번호를 줍니다.

번호엔 방향, 도로 규모 등 정보 담겨
둘째는 도로의 규모에 따라서 자릿수가 달라집니다. 국토를 종단 또는 횡단하는 '간선노선'에는 두 자리 숫자가 부여되는데요. 남북 방향은 끝자리에 '5'번을, 동서 방향은 '0'번을 붙입니다.

간선노선보다 규모가 작은 '보조노선'에도 역시 두 자리 숫자가 주어지기는 하지만 끝자리가 다릅니다. 남북 방향은 끝자리에 1·3·7·9번이, 동서 방향은 2·4·6·8번이 부여됩니다.

중앙일보

지선은 세자리 숫자를 사용한다. [블로그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보조노선은 간선노선 축에서 나누어져서 주요 도시나 산업단지, 항만과 공항 등을 연결하며 2개 시·도 내외를 통과하는 노선을 일컫습니다.

또 간선노선 또는 보조노선에서 갈라져서 인근 도시나 항만, 공항 등을 잇는 짧은 고속도로인 '지선'에는 세 자리 숫자가 부여됩니다. 앞 두 자리는 관련이 되는 간선노선 또는 보조노선의 번호를 그대로 씁니다. 대신 셋째 자리에는 남북방향은 1·3·5·7번을, 동서방향은 2·4·6·8을 붙입니다.

남북 방향은 홀수, 동서 방향은 짝수
이 기준을 적용하면 남해고속도로는 전남 영암과 부산을 동서로 잇는 간선노선인 만큼 우선 두 자리 숫자가 되고 끝자리에 '0'이 붙게 됩니다. 그리고 동서 방향의 간선노선 중 가장 남쪽에 있기 때문에 앞에 '1'을 넣어 '10' 번이 된 겁니다.

동서를 연결하는 간선노선 중에서 가장 북쪽에 있는 서울양양고속도로의 번호는 '60'번입니다.

중앙일보

동서를 연결하는 서울양양고속도로의 노선번호는 60번이다. [중앙포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면 서해안고속도로는 몇번일까요? 먼저 이 도로는 서울에서 전남 무안을 남북 방향으로 연결하는 간선노선이기 때문에 두 자리이고 끝자리에 '5'를 써야 합니다. 또 남북 방향 고속도로 가운데 가장 서쪽에 있기 때문에 '1'을 붙이면 '15'번이 됩니다.

서해안고속도로의 바로 오른쪽에 위치한 간선노선인 호남고속도로의 번호가 '25번'인 것도 이 같은 방식에 따른 겁니다. 서에서 동으로 갈수록 앞 숫자가 커지는 겁니다. 동쪽 끝에 있는 동해고속도로의 노선번호가 '65'번인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순환도로는 우편번호 앞자리+00
보조노선은 연결된 간선노선의 번호에 영향을 받는데요. 예를 들어 남북 방향인 평택화성고속도로의 경우 서해안고속도로(15번)의 오른쪽에 있기 때문에 뒷자리에 '7'을 붙여서 '17번이 되는 겁니다.

'12번' 도로의 경우는 남해안고속도로(10번)와 연결되며 위쪽에 위치한 보조노선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중앙일보



또 '151'번은 세 자리이므로 우선 짧은 거리인 지선이고, 서해안고속도로(15번)에서 갈라져 나온 남북방향 도로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순환고속도로는 어떻게 번호를 붙일까요. 남북 방향도, 동서 방향도 아닌 그야말로 순환인데 말이죠. 이게 세 번째 원칙입니다. 순환고속도로는 세 자리로 하되 맨 앞에는 해당 도로가 있는 지역의 우편번호 첫 자리를 사용합니다.

다만 도로명으로 바뀐 지금의 우편번호가 아닌 6자리의 옛 우편번호입니다. 그래서 서울은 '1', 대전은 '3', 부산은 '6' 이 붙게 되는데요. 그 뒤에는 '00'번을 사용합니다.

그래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의 번호가 '100'이 되는 겁니다.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는 '600'번입니다.

고속도로를 달리며 무심코 지나치는 노선번호라도 조금만 규칙을 알면 그 '속살'을 볼 수 있다는 게 흥미롭습니다.

강갑생 교통전문기자 kkskk@joongang.co.kr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