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인류 모두 혼혈 될 것" 50여년 전 한국서 인종차별 철폐 외쳤던 미국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펄 벅 여사가 소사희망원에서 한국 아이를 안고 있는 모습. [한국펄벅재단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500년 내지 1000년 후에는 인간 모두가 혼혈인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나는 현재의 혼혈인을 ‘새 인간(New People)’이라고 부른다.”

펄 벅(1892∼1973)여사가 한국에 방문했던 1967년 여름 고(故) 장왕록 서울대 명예교수와 나눈 대화다. 미국 여성 최초로 노벨 문학상을 받았던 펄 벅은 소설가이자 50여년 전 인종차별 철폐를 주장했던 인권운동가다. 세계 인종차별 철폐의 날인 21일 경기도 부천에 위치한 사회복지법인 한국펄벅재단을 찾았다.

중앙일보

세계 인종차별 철폐의 날인 21일 경기도 부천에 위치한 사회복지법인 한국펄벅재단을 찾았다. 권택명(69) 한국펄벅재단 상임이사는 "펄 벅 여사는 인종차별에 대해 소리 높였던 사회운동가다“라고 말했다. 박해리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권택명(69) 한국펄벅재단 상임이사는 “펄 벅 여사는 중국에서 자신이 이방인이었던 경험으로 인종차별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된 것”이라며 “미국의 흑인 등 인종차별에 대해 소리 높였던 사회운동가다”라고 소개했다.

펄 벅 여사는 미국 웨스트버지니아 주에서 태어난 후 3개월 만에 선교사였던 부모를 따라 중국에 갔다. 그는 약 40년간 중국에서 머물며 아시아와 깊은 인연을 맺었다. 1931년에 발표한 소설 ‘대지’로 퓰리처상과 노벨 문학상을 동시에 받았다.

중앙일보

한국에 관심이 많았던 펄 벅 여사는 한국을 배경으로한 3편의 소설을 쓰기도 했다. 오른쪽은 1963년 발표한 '갈대는 바람에 시달려도' 원서와 왼쪽은 고 장왕록 교수가 번역한 번역본. 구한말부터 광복까지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는 이 소설은 독립운동 등 한국의 역사적 이야기가 담겨있다. 뉴욕타임즈는 이 소설에 대해 "대지 이후 최대의 걸작이다"라고 평했다. 박해리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에 관심이 많았던 펄 벅 여사는 한국을 배경으로 3편의 소설을 쓰기도 했다. 1964년 펄벅재단을 미국에 세운 후 이듬해 해외 첫 지부로 한국지부를 열었다. 1967년에는 경기도 부천에 소사희망원을 세워 미군과 한국 여성들 사이에 태어난 고아들을 아메라시안(Amerasian)이라 이름 지은 후 직접 돌보기도 했다. 현재 ‘혼혈’이란 용어는 차별적 의미를 내포한다고 지적된다.

소사희망원은 다른 보육원들과 다른 점이 있다. 권 이사는 “입양이 많기도 했지만 펄 벅 여사는 이들이 차별과 냉대가 있어도 이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남아야 한다는 생각을 가졌다”라며 “자립할 수 있도록 양재·미용기술 등을 가르쳤다”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경기도 부천에 위치한 펄벅기념관 내 미군과 한국여성들 사이에 태어난 고아 아메라시안(Amerasian)을 돌본 소사희망원의 모습을 재현해 놓은 모형. 펄 벅 여사는 소사희망원에 직접 거주하면서 아이들을 씻기고 입히는 일도 함께 했다. 또한 그는 한국 아이들을 직접 입양하기도 했다. 박해리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총 2000여명이 이 소사희망원을 거쳐 갔다. 펄벅 재단 이사로 활동하는 가수 인순이도 이곳에 살지 않았지만 장학금 등 지원을 받았다.

한국펄벅재단은 2007년 미국 지부에서 재정적으로 독립한 독립법인이 됐다. 현재는 다문화 가정·이주여성으로 범위를 넓혀서 지원한다.

중앙일보

경기도 부천에 위치한 펄벅기념관 전경과 펄 벅 여사의 흉상. 이 자리는 소사희망원이 있던 곳이다. 과거 유한양행 공장이 이전하면서 펄 벅 여사와 친분이 있던 유한양행 창립자 고 유일한 박사가 펄 벅 여사에게 부지를 제공했다. 기숙사가 있던 자리는 현재 빌라 등이 들어서 있다. 박해리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백은영 한국펄벅재단 사무처장 대행은 “건강(Health) 교육(Education) 생활(Livelihood) 심리(Psycho-social) 를 지원하는 HELP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주로 방과 후 교육, 역사 교육 등 다문화 아이들의 교육에 초점이 맞춰있다”라며 “다문화 가정이 아닌 아이들도 프로그램에 함께 참여해서 아이들끼리 자연스럽게 접촉하며 서로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게 하는 게 특징이다”라고 말했다.

다문화 아이들이 어머니 나라를 방문하는 프로그램도 있다. 지난해 10년째를 맞이한 이 프로그램은 현지 한국 대사관 방문, 외가 가족들과 시간 보내기 등 문화적·경제적 다방면으로 두 나라 간의 이해도를 높이도록 구성했다.

중앙일보

권택명 한국펄벅재단 상임이사가 펄 벅 여사의 소설 '갈대는 바람에 시달려도'의 서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 서문에는 한국을 '고상한 사람들이 사는 보석 같은 나라'라고 묘사하고 있다. 박해리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권 이사는 “이주여성의 자녀들은 엄마 때문에 따돌림받는다고 생각해 엄마에 대한 존경심이 비교적 적은데 이 프로그램 참여 후 존경심이 생기는 장점이 있다”라며 “또한 엄마 나라의 말을 배우며 이중언어 가능자로 장점이 많다는 것을 깨닫는 등 긍정적 효과가 많다”고 말했다.

펄벅재단은 지난 17일에는 인종차별 철폐의 날 행사도 진행했다. 경기도와 부천시가 주최하고 15개 민간기관으로 이루어진 부천다문화네트워크가 주관하는 이 행사는 부천 북부역 광장에서 인종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 캠페인 등을 진행했다.

중앙일보

펄벅재단은 지난 17일에는 인종차별 철폐의 날 행사도 진행했다. 경기도와 부천시가 주최하고 15개 민간기관으로 이루어진 부천다문화네트워크가 주관하는 이 행사는 부천 북부역 광장에서 인종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 캠페인 등을 진행했다. [한국펄벅재단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권 이사는 “펄 벅 여사는 ‘너와 나는 다를 뿐 너도 옳고 나도 옳다’는 말을 한 적 있다. 인종차별 철폐 날을 맞이해 한국도 좀 더 열린 마음으로 서로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박해리 기자 park.haelee@joongang.co.kr

◇수정: 2019년 3월22일

애초 기사는 펄 벅 여사의 출생지를 미국 버몬트로, 미국펄벅재단의 설립 시기를 1965년이라고 보도했습니다. 그러나 재단 측은 기사가 나간 뒤 재차 확인한 결과 출생지는 웨스트버지니아고, 재단 설립년도는 1964년이라고 알려와 수정했습니다.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