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검찰, 삼성물산 등 10곳 압수수색…삼성바이오로직스 고의 분식회계 의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지난 2015년 5월 삼성그룹 계열사인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이 이사회를 열고 합병을 결의한 날 서울 서초구 삼성물산 본사 앞 깃발이 바람에 펄럭이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고의 분식회계 의혹' 사건을 수사중인 검찰이 삼성물산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삼성물산 압수수색은 지난해 12월에 이어 두번째로 최대 주주인 이재용 삼성그룹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 문제를 겨냥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 송경호)는 14일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한 고발 사건 수사를 위해 서울 서초동 삼성물산 본사와 경기 과천시 삼성SDS 데이터센터 등 10곳을 압수수색했다고 밝혔다. 삼바 업무에 관여한 삼성물산 일부 임직원도 이날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됐다. 사법행정권 남용 및 재판거래 의혹 수사팀으로도 활동했던 특수2부는 양승태 전 대법원장 구속기소 한 달 만에 본격적으로 삼바 수사에 돌입했다.

검찰의 수사는 지난해 11월 증권선물위원회가 삼바를 고의분식회계 혐의로 고발한 데 따른 것이다. 수사팀은 고발 20여일 만인 지난해 12월 삼바와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 및 외부 감사를 맡았던 회계법인 4곳, 삼성물산 등을 압수수색했다. 삼바를 넘어 삼성물산까지 압수수색하자 검찰이 분식회계를 넘어 삼성그룹 경영권 승계 전반을 보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검찰 관계자도 이날 “압수수색 대상이 삼성물산이라는 것보다는 사건에 관계된 사람이 현재 어디에 있는 지가 중요하다”며 이런 해석에 힘을 실었다.

특히 당시 김용관 삼성전자 부사장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이같은 관측의 설득력이 높아졌다. 검찰은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출신인 김 부사장이 삼바 분식회계가 일어날 당시 감사였던 점에 주목하고, 이것이 그룹 차원에서 경영권 승계를 위해 움직인 근거가 될 수 있다는 의혹을 갖고 있다.

지난 2015년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은 1 대 0.35 비율로 합병한 뒤 이재용 부회장이 최대 주주가 됐다. 이후 '분식회계로 부풀려진 삼바 가치가 모회사인 제일모직 가치에 그대로 반영됐고 결국 통합 삼성물산의 최대주주인 이 부회장은 삼성전자와 삼성생명, 삼성물산으로 이어지는 지배 구조를 완성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특수 2부를 지휘하고 있는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과 한동훈 3차장 검사는 지난 2016년 박영수 특검팀에서 활동하면서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과정에서 삼바의 기업 가치가 고의로 부풀려졌다는 의혹을 수사한 바 있다. 윤 지검장과 한 차장 등은 합병을 통해 이재용 부회장이 대주주인 제일모직 가치가 부풀려졌고, 이에 찬성한 국민연금공단도 제일모직이 보유한 삼바 지분(40%) 가치를 가장 낙관적으로 잡았다고 봤다.

검찰은 지난 2월 정기 인사에서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 인력을 12명에서 18명으로 늘렸다. 특수2부에는 한국 공인회계사 자격증과 미국 공인회계사 자격증을 가진 검사들이 배치돼 있다.

증선위는 지난해 삼바를 고발하는 것과 별도로 삼바에 대해 각종 제재 조치를 취했다. 그러자 삼바는 이에 불복하는 행정소송을 제기했고 법원은 삼바의 손을 들어줬다. 지난 1월 법원은 “회복하기 어려운 손해를 예방하기 위해 긴급하게 금융당국 처분을 중단할 필요성이 있다”며 삼바의 제제 집행정지 신청을 받아들였다.

김민상 기자 kim.minsang@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